“369억원 부당이득 꼬리 잡혔다”…김건희특검, 삼부토건 최고위층 주가조작 사전모의 적시
정치권을 강타한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을 둘러싸고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과 삼부토건 전현직 최고위층이 정면 충돌했다. 삼부토건 전현직 수뇌부가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추진을 빌미로 조직적으로 주가를 띄우고, 이 과정에서 369억원에 달하는 부당이득을 챙겼다는 혐의가 특검수사에서 제기됐다. 이번 사안의 중심에 있는 이들은 17일 열릴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앞두고 있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14일 서울중앙지법에 이일준 삼부토건 회장, 조성옥 전 회장, 이응근 전 대표, 이기훈 부회장 등 전현직 경영진 4명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하며, 부당이득 금액을 369억원으로 적시했다. 이 가운데 조성옥 전 회장 측이 챙긴 금액은 200억원, 이일준 회장 측은 17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검팀은 이들이 2023년 5∼6월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참가와 관련한 각종 보도자료와 현지 포럼 참석을 미끼로 투자자를 현혹해 주가를 부양한 뒤, 확보한 주식을 고점에서 매도해 막대한 이득을 챙긴 것으로 봤다. 특히 삼부토건 측은 2023년 5월 폴란드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재건 포럼’에 참가비를 내고 참석했으면서 마치 공식 초청을 받은 것처럼 홍보하고, 실제로는 현지 사업 수주 실적도 거의 없었던 정황이 적시됐다.
주가 역시 실제 성과와 무관하게 재건사업 기대감에 급등했다. 특검팀에 따르면, 2023년 초만 해도 1천원대였던 삼부토건의 주가는 불과 2개월 만에 5천 5백원대까지 치솟았다. 이 시기 회장도 교체됐는데, 조성옥 전 회장이 보유 주식을 팔아 거액의 차익을 실현한 뒤, 뒤이어 이일준 회장 역시 우크라이나 사업 기대감에 편승해 추가 매도를 단행한 정황이 드러났다.
이응근 전 대표는 우크라이나 사업 총괄을, 이기훈 부회장은 회장단 지분 승계와 포럼 참석 실무를 맡으며 조직적 사전모의를 주도한 ‘그림자 실세’로 지목됐다. 특검팀은 “우크라이나 사업에서 시작해 주가조작, 부당이득까지 이르는 과정이 전현직 최고위층의 기획 하에 이뤄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 3일 공식 수사를 개시한 이후 처음으로 대규모 구속영장을 청구한 것으로, 향후 수사 확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들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은 17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이정재 영장전담 부장판사 심리로 진행된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특검의 본격 수사가 삼부토건뿐 아니라 주가조작 이슈 전반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향후 법원의 구속영장 발부 여부에 따라, 특검 수사와 관련된 정치적 공방이 거세질 전망이다.
이날 특검팀의 구속 영장 청구는 수사 본격화의 분수령으로 평가되며, 정치권은 주가조작 의혹에 대한 진실 규명과 책임 소재를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