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경제통합 필요”…최태원, EU 모델 기반 협력 강조에 주목
현지시각 22일 일본(Japan)에서 진행된 요미우리신문 인터뷰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한일 간 경제통합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최 회장은 한국 정부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추진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사회적 비용 절감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유럽연합(EU)식 전면적 경제공동체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번 발언은 오사카·간사이 만국박람회 방문에 맞춰 이뤄졌으며, 양국의 경제적 결속력 강화를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최 회장은 "한일 경제 블록을 만들 경우 미국(USA), EU, 중국(China)에 이어 세계 4위 경제권이 탄생할 것"이라면서, 단순한 무역 확대를 넘어 경제안보 분야, 인공지능(AI)과 반도체 등 첨단산업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양국간 교역 확대에도 불구하고 “교역만으로는 동반 성장이 한계에 직면할 것”이라는 진단도 함께 나왔다.

이러한 제안의 배경에는 트럼프 전 미국 행정부 이후 뚜렷해진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통상질서 변화가 자리 잡고 있다. 최 회장은 “새로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한일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면서, 일본과 SK의 실제 사업협력 성공사례로는 일본 NTT와의 반도체 기술개발 논의, 도쿄일렉트론 등과의 교류를 소개했다. 또한, 일본 내 추가 투자의지도 표명해 양국 기업 협력의 구체적 장기 전망을 드러냈다.
이 같은 경제통합 구상에 대해 한일 양국 정부 및 재계의 공식 반응은 아직 나오지 않았으나, 일본 현지 언론은 "장기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구상"이라며 긍정적 평가를 내놨다. 글로벌 미디어 역시 최근 미중 갈등, 공급망 경쟁 격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동북아 경제 블록의 잠재력에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CPTPP 등 기존 개방형 자유무역협정 이상의 구조적 통합이 논의될 경우 양국 경제안보의 시너지, 기술자립 효과는 물론 글로벌 공급망 내 입지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한일 경제공동체 구상이 실질적 정책 및 제도 논의로 이어질 수 있을지, 국제사회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