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치료제 청소년 처방 2.6배 급증”…김대식, 오남용 우려 지적
주의력결핍행동장애(ADHD) 치료제를 처방받은 청소년 수가 최근 5년간 2.6배로 급증한 현상이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대식 의원이 2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4만7천266명이던 청소년 처방 환자는 2024년 12만2천906명까지 치솟았다. 이 같은 수치는 연도별로 보면 2021년 5만5천491명, 2022년 7만2천590명, 2023년 9만6천716명으로 매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성별로는 남성 환자가 2020년 3만7천824명에서 2024년 8만9천258명으로 136% 늘었고, 여성 환자는 같은 기간 9천442명에서 3만3천648명으로 256%까지 증가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5세부터 9세까지가 154.2%, 10세부터 14세까지 152.6%, 15세에서 19세는 177.1%의 처방 환자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처럼 연령과 성별을 막론하고 처방 환자가 빠르게 상승하는 추세가 확인됐다.

김대식 의원은 진단 및 치료 필요성과 별개로, ADHD 치료제를 ‘공부 잘하는 약’으로 오인하는 청소년들과 부모가 늘고 있는 현상에 경각심을 나타냈다. 그는 “ADHD 치료제가 공부 잘하는 약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퍼지며 청소년 오남용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교육청과 보건당국의 청소년 처방에 대한 공동 관리 체계가 사실상 없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며, 효과적인 관리와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는 학습 능력 제고를 위해 ADHD 치료제가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우려 경제에도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치료제가 반드시 전문 진료와 정확한 진단 하에 사용돼야 한다는 점에서, 단기 성적 향상을 위해 용도 외로 쓰이는 현실에 대한 대책 촉구가 이어진다. 학부모와 교사 일선에서도 약물 남용에 대한 경계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이다.
이날 국회는 ADHD 치료제 처방 관리 실태에 대한 교육청·보건당국 책임론을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으며, 정부는 향후 청소년 대상 약물 처방 관리 체계 강화 방안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