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용 못 해”…권영세, 국민의힘 당원권 정지 3년 중징계에 강력 반발
당원권 정지 3년이라는 중징계가 내려지면서 국민의힘 내부 갈등이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대선 후보 교체 시도를 두고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당무감사위원회의 결정에 강하게 반발하며 내홍이 확산되고 있다. 윤리위원회의 최종 판정이 임박한 가운데, 정치권은 이번 징계가 정국에 파장을 미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25일, 국민의힘 당무감사위원회는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 이양수 전 선거관리위원장에게 각각 당원권 정지 3년의 징계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징계는 지난해 대선 경선 당시 ‘김문수-한덕수’ 후보 교체 주도를 문제삼은 조치로, 경선 결과를 뒤집으려 한 행위가 “정당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중대한 사안”이라는 유일준 당무감사위원장 발언과 함께 공식화됐다.

당무감사위는 2025년 5월 10일 새벽, 비상대책위원회가 김문수 후보를 일방적으로 취소하고 한덕수 후보 단독 등록을 강행한 과정에서 당규 위반이 있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경선 불참자와 선출된 후보를 절차 없이 교체할 권한이 없다”며, “선출 후보의 의사에 반하는 단일화 추진은 당헌 74조 취지에 어긋난다”고 강조했다.
유일준 당무감사위원장은 브리핑에서 “수정 불가피한 사유 없이 지도부가 후보를 일방적으로 교체하면 안 되며, 해당 결정이 선의였더라도 절차 위반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동시 논란에 올랐던 권성동 전 원내대표는 당무감사위 논의 결과 주도적 역할이 인정되지 않아 징계 대상에서 제외됐다.
권영세 전 비대위원장은 당무감사위의 징계에 SNS를 통해 즉각적으로 반발했다. 그는 “수용할 수 없는 결정”이라면서, “반드시 바로잡힐 것으로 확신하며, 이런 파당적 결정 책임자들은 응분의 책임을 질 것”이라고 강경 대응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당내 긴장감이 한층 높아지고, 당원 민주주의와 의사결정 체계에 대한 재점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윤리위원회의 최종 징계 결정이 당의 정체성 논란과 내부 결속에 직접적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그만큼 이번 사건의 파장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국민의힘 윤리위원회는 당무감사위 결정을 토대로 권영세 전 위원장 등의 최종 징계 여부와 수위를 확정할 방침이다. 향후 결과에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는 가운데, 당 지도부의 대응과 당내 여론이 향후 당의 운영 방향을 크게 좌우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