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개혁 드라이브 후 리더십 시험대”…정청래, 여당 대표 100일 속 지방선거 최대 과제

조보라 기자
입력

정치적 충돌의 가운데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임기 100일을 맞았다. 검찰·사법·언론 등 굵직한 개혁 입법을 고속 추진하며 지지층 결집을 이끌었지만, 대통령실과의 갈등 및 당내 투톱 조율 등 리더십 문제가 드러나면서 정국의 시험대에 올랐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명청 갈등설’도 재부상해 당의 확장성과 단합에 대한 물음이 다시 제기됐다. 여론조사 지표가 정체되는 가운데, 향후 정 대표의 행보가 여당의 운명을 크게 좌우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정청래 대표는 11월 9일로 취임 100일을 맞았다. 지난해 8·2 전당대회 직후부터 ‘개혁 3대 드라이브’라는 기치 아래 검찰·사법·언론개혁 입법에 박차를 가했다. 그는 “추석 귀경길에 검찰청 해체 뉴스를 들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으며, 실제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검찰청 폐지 및 수사·기소 분리의 입법 목표를 달성했다. 당정 협의 끝에 이 개정안은 올해 9월 국회 문턱을 넘었고, 내년 10월부터 검찰청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더불어민주당은 사법개혁 강화를 위해 대법관 증원, 법관 평가제 등 추가 입법도 속도를 냈다. 언론개혁 측면에선 ‘방송 3법’ 처리에 성공했으며, 정보통신망법 개정 등 유튜버와 언론의 허위조작 보도에 손해액 최대 5배 배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경제민주화 관련해선 ‘더 센 상법’ 2차 개정과 노란봉투법 등 노동 개혁 입법도 성과를 냈다.

 

지지층 중심의 강경 드라이브는 민주당 내부에서 긍정 평가와 우려를 동시에 불렀다. 한 중진 의원은 “개혁 약속 실천과 입법 과정에서의 결단력이 뚜렷하다”고 평가했다. 반면, 지지층 중심 행보가 외연 확장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시각도 확산됐다. 한 초선 의원은 “여당의 가장 큰 과제는 확장”이라며 “지지층 아젠다만 추진한다면 중도 표심에 한계가 올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정 대표는 “악수는 사람과 하는 것”이라며 제1야당인 국민의힘과는 공식 악수조차 피했던 취임 초기 소신을 드러냈다. 이로 인해 대통령의 중재로 여야 지도부 오찬 과정에서 묵은 갈등을 해소하는 장면도 연출됐다. 그러나 추미애 의원과의 연대, 조희대 대법원장에 대한 비판 이후 여론이 악화하자 정 대표가 한발 물러서는 모습도 있었다.

 

정청래 대표 취임 이후 민주당 지지율은 한국갤럽 11월 7일 발표(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 기준 40%로 8월 둘째 주 41%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6월 대선 직후(46%)에 비해선 하락한 채 정체돼 있다.

 

명청(이재명 대통령-정청래 대표) 갈등설과 투톱 체제의 충돌도 논란이 되고 있다. 9월 여야 특검법 합의 번복 과정에서 김병기 원내대표가 “정청래한테 사과하라”고 공개 반발하는 등 전략 및 소통에 균열이 노출됐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직후 재판중지법 추진 과정에선 대통령 비서실의 공개 경고가 이어졌고, 최근 부산시당위원장 컷오프 등 인사 갈등까지 표면화됐다.

 

정 대표는 대통령 당선 이후 내란 청산 이슈와 3대 특검 연장 등 굵직한 현안을 주도했으나, ‘대통령의 시간’이라며 100일 기자간담회를 건너뛰는 등 자세를 낮추고 있다. 연내 개혁과제 마무리와 내년 민생 중심 정책 선회로 지방선거에 맞설 방침이지만, 당내 결속과 중도 확장 과제가 여전히 크다. 내란 청산 피로감이 누적되는 가운데 내년 6월 지방선거가 정청래 대표의 거취를 좌우할 가능성이 높다. 승리 시 한 단계 도약이 전망되지만, 패배 땐 임기 종료 전 중도 퇴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다.

 

이날 국회는 검찰청 폐지·노동개혁 등 후속 과제를 두고 논쟁을 이어갔으며, 정치권은 정청래 리더십을 둘러싼 내부 균열과 중도 지지층 공략을 둘러싸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청래#이재명#더불어민주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