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월 녹조 심화 우려”…환경부, 폭염 속 취수장·정수장 긴급 대응
기록적인 폭염에 따른 하천 수질 악화와 8~9월 녹조 심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환경부가 비상 대응 체계 강화에 나섰다. 환경부는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요 관계기관과 상황점검회의를 열고, 전국 취수장·정수장 관리와 오염원 차단 등 조치 현황을 점검했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이미 5월 말 칠서지점에 조류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했으며, 6월 17일에는 ‘경계’로 단계가 격상됐다. 이후 강정고령지점의 조류경보가 하향 조정됐지만, 장마 종료 뒤 이어지는 36℃ 안팎의 폭염경보로 녹조 재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온이 지속될 경우 8~9월 전국 수계의 녹조가 한층 심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환경부는 하천변 퇴비 수거와 덮개 설치, 오수처리시설 점검 등 오염원 유입 사전 차단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전국 주요 취수장에는 조류차단막이 설치되고, 댐·보 연계방류 및 녹조제거선 동원 등 물리적 조치도 병행 중이다. 정수장에서는 활성탄 흡착, 오존 처리 등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수돗물의 안전성을 높이고 있다.
손옥주 물관리정책실장은 “전국 강우로 일시적으로 녹조가 감소했으나, 평년보다 높은 8~9월 기온 전망에 따라 녹조 악화 우려가 크다”며 “현장 실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신속한 녹조 저감과 철저한 정수장 관리로 안전한 물 공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 등 관계당국은 상황 악화 시 추가 대응 방안도 마련해 둔 상태다. 물이용 시민단체들은 “기후위기로 인한 녹조 확산에 정부와 지자체의 근본적 대응책이 요구된다”는 입장이다. 폭염과 함께 예고된 녹조 문제는 취약 지점 점검, 체계적 모니터링 등 장기 대응이 핵심 과제로 남을 전망이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녹조 관련 피해 예방과 정확한 수계 관리에 협력하며, 추가 상황 변화에 따라 후속조치를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