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에서 국정 구상”…이재명 대통령, 한미 정상회담·광복절 사면 고심
강행군 끝 맞이한 첫 여름휴가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거제 저도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이, 한미 정상회담과 광복절 특별사면, 여야 관계 등 굵직한 국가 현안을 둘러싸고 정치권의 신경전이 재점화됐다. 여권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사면 요구, 미국 관세협상 후속 등 쟁점이 뒤섞이며 정국은 파란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3일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통령이 저도에 머물며 정국 구상을 가다듬고, 독서와 영화 감상 등으로 재충전 시간을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의 공식 하계휴가는 4일부터 8일까지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연이은 비상계엄, 탄핵 국면, 조기대선 등 강행군 속에 컨디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최근 고위공직자 워크숍에서 “이빨이 흔들린다”고 어려움을 토로한 바 있다.

다만 올해 8월 정국에는 한미 정상회담 일정, 광복절특사, 여야 새 지도부와의 관계설정 등 첩첩이 쌓인 현안이 대기 중이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정상회담 방미 일정을 언급하면서 한미 외교전이 본격화됐다. 한미 양국은 현재 외교채널을 통해 정상회담 구체 일정을 조율 중이며, 방위비 증액, 미국산 무기 도입, 주한미군 역할 등 안보 협력 논의가 한 축을 이룰 전망이다. 최근 협상에서 공개되지 않은 ‘안보 패키지’가 의제에 포함될지에 대한 관측도 흘러나온다.
국내적으로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특별사면 범위에 정치인이 포함될지 여부가 쟁점이다. 여권 내에서는 조국 전 대표의 사면을 촉구하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으나, 대통령실 우상호 정무수석은 “관세협상에 매진해 정치인 사면 검토는 본격적으로 시작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관세협상이 마무리됨에 따라 이재명 대통령의 결단과 참모진 의견 수렴이 본격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여야 관계 역시 정국 주목사다. 더불어민주당 신임 대표로 정청래 의원이 선출되면서 대통령실과 여권의 소통구조, 개혁법안 처리 속도 등에 변화가 예상된다. 정청래 대표는 전당대회 수락 연설에서 “검찰·언론·사법 개혁을 추석 전에 반드시 마무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이재명 대통령의 휴가 이후 양측의 첫 회동 내용과 법안 처리 방식, 추가 통합 메시지 여부에 이목이 쏠린다.
정치권에서는 “대통령의 재충전 시기에도 현안은 멈추지 않는다”며 향후 정국 흐름에 긴장감을 보이고 있다. 국회와 정부 모두 한미 정상 외교와 정치인 사면, 개혁법안 추이를 두고 민심과 여론을 면밀히 주시하며, 광복절 이후 본격적인 논의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