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방지 위해 거래 취소도 검토”…서클, 블록체인 불변성 논란 확산
현지시각 25일, 세계 2위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서클(Circle)’이 분쟁이나 사기와 같은 특수 상황에서 자체 발행 토큰의 거래를 취소하는 기능 도입을 공식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움직임은 블록체인의 핵심 원칙인 거래 내역 불변성에 대한 근본적 도전으로, 국제 디지털 금융 및 암호화폐 시장에 미묘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히스 타버트 서클 사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를 통해 “토큰 거래 취소 기능 검토는 거래 결제의 최종성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사기 예방을 양립하려는 시도”라고 설명했다. 특히 즉시 이체 원칙과 거래 취소 불가라는 블록체인 고유 가치 사이의 긴장 관계를 언급하며, 업계 전통과의 충돌 가능성도 인정했다.

서클의 이 같은 계획이 알려지면서,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은 “블록체인의 전통적 가치관과 차별성을 약화시키는 중대한 변화”라고 평가했다. 일부 투자자들은 “거래 취소가 가능해진다면 더 이상 블록체인 기술이라고 부를 수 없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쏟아내고 있다.
이와 관련해 타버트 사장은 “모든 참여자가 합의한다는 전제 하에, 사기나 한정된 상황에서만 거래가 되돌릴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서클은 740억달러 규모의 자체 스테이블코인 ‘USDC’ 운용 외에도, 기업 및 은행을 겨냥한 신규 블록체인 ‘아크(Arc)’에서 신용카드 환불과 비슷한 역거래 기능 도입을 모색하고 있다.
다만 이번 정책이 기존 블록체인 장부 자체를 직접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거래취소 기능을 별도 기술 계층으로 구현하는 방식이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거래액의 암호화 및 공개 선택 기능 등 기관투자자 맞춤형 옵션도 준비 중임을 밝혔다. 타버트 사장은 “모든 거래 내역을 외부에 공개하는 건 금융기관에 적합하지 않다”며 기밀성 옵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같은 서클의 시스템 정책 변화가 실현된다면, 블록체인 결제 및 송금 시장에서 오랜 기간 고수됐던 ‘불변성’ 원칙 자체에 대한 재검토 논의가 더욱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주요 매체들도 “기관 투자자를 위한 실용적 변화이지만, 블록체인 산업 철학의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서클 등 글로벌 결제 인프라 사업자가 규제 대응과 기관 참여 유인을 위해 불변성 대신 사기 방지 등 실용적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바라보고 있다. 앞으로도 블록체인 기술의 본질과 실용 사이 긴장 관계를 놓고 국제적 논쟁이 심화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