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합의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경제계, 미래 산업 동맹 기대감 높여
한미 관세 협상 타결을 두고 경제계와 정부가 맞붙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30일 공식 논평을 내고 “금융 패키지를 포함한 폭넓은 합의에 이른 데 대해 진심으로 환영한다”고 밝히면서, 주요 협상 결과가 국내 산업과 글로벌 경쟁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이번 합의가 “양국 대통령의 리더십 아래 달성된 중요한 외교·경제 성과”라며, “한미 양국이 상호 이익과 공동 번영이라는 대원칙을 공유하고 있음을 재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자동차, 자동차 부품, 의약품 등 주요 품목에서 한국 기업들이 주요 경쟁국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조건의 관세를 적용받게 된 점은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금융투자가 국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최소화돼 시장 안정 차원에서 높이 평가한다”고 덧붙였다.

경제계는 이번 관세 타결로 수출기업의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 전망했다. 특히 상호관세 세율이 15%로 유지되는 가운데, 자동차 관세는 기존 25%에서 15%로 인하돼 자동차 업계의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관측된다. 반도체의 경우 대만과 유사한 조건이 적용돼, 국내 전자산업 경쟁력 유지에도 긍정적 기대가 모인다. 추가로 총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금 가운데 2000억 달러를 현금으로 투자하되, 연간 200억 달러 한도로 제한하는 조건도 합의됐다.
정치권과 산업계의 반응도 뜨겁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이번 협상이 미래 산업 협력 기반 확장, 첨단기술·조선·에너지 등 전략 분야 공동투자 확대 등을 통해 한미 경제 동맹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경제계는 한국의 대표적인 대미 경제협력 창구로서 이번 합의가 실질적 효과로 이어지도록 노력을 강화할 계획임을 내비쳤다.
이에 따라 관세 문제를 둘러싼 한미 양국의 긴장감이 완화되고, 양국이 공동번영을 모색하는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다. 정가 안팎에서는 향후 한미 정상회담 등에서 이번 합의가 후속 경제 협력 논의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