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뇌동맥류 잡아낸다”…딥노이드, 유럽서 최신 진단기술 공개
딥노이드의 인공지능(AI) 기반 뇌혈관 질환 진단 기술이 글로벌 학술무대에서 주목받고 있다. 의료AI 전문기업 딥노이드는 자체 개발한 차세대 뇌동맥류 진단 AI 솔루션 등 뇌혈관 및 뇌실질 질환 관련 최신 연구 6편이 유럽뇌신경영상의학회(ESNR 2025) 공식 프로그램에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ESNR은 2025년 9월 17일부터 21일까지 터키 이스탄불에서 개최될 국제 심포지엄으로, 아시아-오세아니아 및 터키 뇌신경영상의학회와의 공동 행사로 진행돼 뇌질환 영상진단 분야 세계적 유수 연구진이 대거 참가할 예정이다.
이번에 공개되는 딥노이드의 연구 핵심은 뇌동맥류 AI 진단 기술인 DEEP:NEURO의 고도화된 기능과 실제 임상에 적용 가능한 신기술들에 있다. 특히 3밀리미터 이하 초미세 뇌동맥류까지 정밀하게 분할이 가능한 상황 인식 의미적 증강(CSA) 기법과, 대뇌동맥륜 구조를 기반으로 탐지 정확도와 임상 실효성을 높인 독자적 알고리즘(CoRA)이 학회에서 공식적으로 소개된다. 딥노이드 측은 자체 개발한 이 기술들이 기존 AI 진단 솔루션 대비 더 높은 정확도와 실시간성, 임상 적용 편의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DEEP:NEURO 플랫폼은 이미 혁신의료기술로 선정된 데 이어, 2024년 건강보험 비급여 코드를 취득하며 실 사용 기반을 넓히고 있다. 현재 국내 37개 병원에서 실제 임상 판독과 진료에 도입돼 뇌동맥류 진단 정확도 향상에 기여 중이다. 업계는 최근 뇌졸중, 뇌동맥류 등 중증 뇌혈관질환 조기진단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AI 기반 판독 솔루션의 효율성과 안전성이 핵심 경쟁 요소로 떠오른 상황이라고 분석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GE, 필립스 등 대형 의료기기 업체와 더불어, 구글의 딥마인드, 미국 헬스테크 기업들이 AI 뇌질환 진단 플랫폼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유럽·미국은 AI 의료기기 인증과 임상 데이터 활용 인증 체계를 엄격하게 적용하면서도 혁신 솔루션 도입을 장려하는 정책 기조를 보이고 있어, 국내외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전문가들은 “AI 기반 뇌신경영상 분석 기술이 뇌혈관질환 진단의 새로운 표준을 정립할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한다.
현재 DEEP:NEURO는 건강보험 적용 단계에 진입하며 의료기관 실제 테스트베드로서 임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한편, 식약처 등 규제당국의 추가 심사에 대비 중이다. 딥노이드 고성민 의료R&D본부장은 “AI 기술이 뇌질환 영상진단 분야의 실질적인 패러다임 변혁 중심으로 부상하는 전환점”이라며 “연이은 연구 성과가 글로벌 진출과 산업 생태계 확장에서 의미를 가지는 시기”라고 강조했다. 업계는 이번 기술이 뇌혈관질환 조기진단 임상 현장에 성공적으로 정착하는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