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용마약도 위험 신호”…약물중독 사망 5년간 1110명 파장
약물 중독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최근 5년간 111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치명적 사례의 다수가 중장년층과 여성에게서 나타났으며, 실제 80% 이상이 불법 마약이 아닌 전문의약품과 의료용 마약류 등 합법적 유통 의약품의 오남용에 의해 발생해 의료 현장의 관리 사각지대가 부각되고 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약물중독 관리 체계 강화가 보건의료산업 신뢰 확보의 필수 조건이자 약물 정보 플랫폼, 원격 환자 모니터링 등 디지털 헬스케어 영역의 새로운 과제로 본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통계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약물 급성중독 사망자는 111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년 평균 220여 명, 약 1.6일마다 1명이 중독으로 인해 사망하는 셈이다. 사망자는 여성 596명(53.7%), 남성 514명(46.3%)이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40~50대가 243명(21.9%)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191명, 60대 150명, 20대 145명 순이었다. 0~10대도 16명이나 기록됐다.

약물 유형별로 보면, 전문의약품이 1399건(50.5%), 의료용마약류가 925건(33.4%)으로 전체의 80%를 넘었다. 일반의약품은 9.2%(256건), 불법마약류는 6.8%(188건)였다. 약물 종류로는 최면진정제 740건(28.7%), 항우울제 614건(23.8%), 항정신병약 349건(13.5%) 등 정신과 관련 약물이 주를 이뤘다.
특히 이번 통계는 기존 불법 마약류 중심의 위험성 인식과 달리, 실제 치명적 사고의 다수가 합법 유통 의약품의 오남용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산업계·정책 당국 모두 비상 대응을 요구받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의료용 마약류 관리 강화와 약물 오남용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등 환자안전 중심의 정책 변화가 대두되고 있다. 미국·유럽 등에서는 약국 정보 공유, 전자동약 처방 이력 추적, AI 기반 위험 환자 예측 등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활용한 대응 사례가 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관련 플랫폼 인프라, 실시간 처방 데이터 연계, 약사-의료진 협업 체계 등이 미비해 정책적 보완이 요구된다. 동시에 개인정보 보호, 처방권 침해 논란 등 의료 데이터 활용 윤리 쟁점도 부각된다.
서미화 의원은 “약물중독 사망은 일상에서 쓰는 의약품의 오남용만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며 “당국은 의약품 처방·복용 관리 및 오남용 예방 교육 등 전방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 같은 처방·복용 관리 기술, 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플랫폼 확산이 실제 현장에 정착할지 지켜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술 도입만큼 윤리·제도적 균형도 의료 신뢰 회복의 핵심 조건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