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30일 특검 출석 재통보”…내란특검, 교도관 통해 요구서 전달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외환 혐의 조사를 둘러싸고 조은석 특별검사팀과 윤 전 대통령 측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25일 브리핑을 통해 윤 전 대통령에게 오는 9월 30일 오전 10시 출석을 재차 요구했다고 밝혔다. 교도관을 통해 2차 출석 요구서를 전달했다는 박지영 특별검사보의 설명이 나오면서 특검과 윤 전 대통령 측의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다.
박지영 특별검사보는 이날 "윤 전 대통령은 어제 특검의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면서 "9월 30일 오전 10시에 출석하라고 요구하는 2차 출석 요구서를 교도관을 통해 직접 전달했다"고 전했다. 또한 윤 전 대통령 측이 방문조사에 응하겠다는 의사를 특검 쪽에 전달했다는 일부 매체 보도에 대해선 "어떤 의사도 전달받은 바 없으며, 외환 관련 의혹에 대해서도 정식 변호인 선임계가 제출되지 않았다"며 선을 그었다.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의 조사 동선과 관련한 논란도 언급됐다. 박 특검보는 "박성재 전 장관이 1층 대신 지하로 출석한 것은 의도된 행동이 아닌 것으로 파악했다"면서 "지하 주차장에서 자연스럽게 문이 열리자 들어온 것으로 보이며, 고의적 회피 정황은 발견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가 오는 상황에서 우산이 없는 등 일부 사정에 따라 퇴청시에도 지하를 이용했을 뿐, 출석 자체에 특별한 의도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박 전 장관은 24일 약 13시간에 걸쳐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관련 조사를 받은 뒤 조서에 실제 조사 내용과 다르게 기재된 부분이 있다며 날인을 거부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박 전 장관 측 변호인은 "조서 날인을 거부한 것이 아니라, 조사 내용이 영상녹화돼 있으므로 녹취서로 조서를 대체해달라고 요청했고 특검도 이를 수용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또 귀가 시 지하 출입 대기를 고집하며 특검과 대치했다는 주장도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선 윤석열 전 대통령의 소환 통보와 관련해 다양한 해석이 제기되고 있다. 여당 일부는 특검 수사의 절차적 정당성을 문제 삼고 있으나, 야당에선 진실 규명이 최우선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전문가들 역시 "전직 대통령에 대한 사법 조치는 국내 정치에 중대한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오는 30일 윤 전 대통령 조사를 재차 시도함에 따라 내란 및 외환 혐의 수사와 정치권 파장이 이어질 전망이다. 정치권 전체가 이번 소환 조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어, 이후 진행 상황에 따라 정국이 또 한 번 격랑에 휩싸일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