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뇌전증, 오해가 2차 피해 부른다”…대중교통 종사자 대상 교육 확대
IT/바이오

“뇌전증, 오해가 2차 피해 부른다”…대중교통 종사자 대상 교육 확대

문경원 기자
입력

뇌전증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가 환자 안전에 치명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내 약 37만명이 앓고 있는 뇌전증은 치매, 뇌졸중과 함께 3대 신경계 질환으로 꼽힌다. 특히 갑작스러운 발작 시 현장에서 심정지와 구분하지 못해 심폐소생술 등 부적절한 응급조치가 이뤄지는 사례가 잇따르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번 대중교통 종사자 대상 ‘뇌전증 바로알기’ 교육 실시를 현장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전환점으로 바라보고 있다.

 

한국뇌전증협회와 서울특별시교통문화교육원은 ‘뇌전증 바로알기’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대중교통 종사자에게 뇌전증에 대한 체계적 교육을 시작한다고 6일 밝혔다. 협회가 제시한 공식 지침에 따르면, 뇌전증 발작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무조건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오히려 2차 피해 위험을 확대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을 하기 전 반드시 환자의 호흡과 맥박 확인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됐다. 뇌전증은 연령·직업·생활반경을 가리지 않고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지만, 사회 내 낙인과 무지에서 비롯한 편견으로 인해 환자 본인이 질환을 숨기거나, 사회적 안전망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런 오해는 보육·교육·취업·노동 등 환자의 생애 전반에 걸쳐 차별과 제약을 불러온다. 특히 교통 현장에서 발작 응급대응 오류가 환자에게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는 부작용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뇌전증은 신경계 질환 중 뇌졸중 다음으로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으로, 초기 대응 역량 강화가 환자 보호의 핵심이다”라며 매뉴얼 보급과 사회 인식 전환 모두 병행돼야 한다고 진단한다.

 

국내에서는 뇌전증에 대한 불필요한 공포 대신 정확한 정보 제공과 현장 대응 매뉴얼 보급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해외 역시 뇌전증 환자의 사회 참여와 안전망 확대가 복지, 노동시장 접근성 등과 연계된 정책 이슈로 부상한 바 있다. 서울시교통문화교육원 김창범 원장은 “질병을 숨기지 않고 당당히 밝힐 수 있게 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뇌전증협회 김흥동 이사장 역시 “대중교통 종사자들이 동료 시민의 안전지킴이로 나설 수 있도록 교육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실제 환자와 시민이 함께하는 안전망 구축이 산업과 복지, 규제 그리고 사회문화적 편견 개선을 아우르는 정책 전환의 시금석이 될지 주목된다. 산업계는 교육과 인식 변화를 통한 안전망 확립이 실제 현장에 정착할 수 있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문경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국뇌전증협회#서울특별시교통문화교육원#뇌전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