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스위치·백도어는 없다”…엔비디아, 중국 보안 의혹에 정면 반박
현지시각 5일, 미국(USA)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가 H20 칩의 보안 취약점 의혹에 대해 “킬스위치나 백도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중국(China) 당국의 안전성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의 신뢰와 규제 이슈가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다.
엔비디아 최고보안책임자 데이비드 리버는 이날 블로그를 통해 “엔비디아 GPU에는 원격 비활성화 기능(킬스위치)과 외부 통제·데이터 유출용 백도어가 없다”며, “비밀 백도어는 사이버보안의 근본 원칙을 위반하는 위험 요소로, 정부와 해커 모두에게 악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사용자가 칩에 대한 통제력을 잃게 만드는 킬스위치는 자동차 딜러가 원격으로 브레이크를 잠그는 재앙적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은 지난달 31일, H20 칩 보안 검증과 리스크 자료 제출을 엔비디아 측에 요구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엔비디아는 이미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백도어는 존재하지 않는다”며, 자사 기술의 안전성과 투명성을 재차 강조해 왔다.
H20는 미국 정부가 2023년 말 인공지능(AI) 칩 대중(對中) 수출을 제한한 이후 중국 시장 전용으로 개발된 제품이다. 이후에도 미중(USA-China) 간 첨단 기술 경쟁과 규제 환경은 강화되는 추세이며, H20 칩은 지난달 중순부터 중국 내 판매를 재개했다.
이 같은 미국과 중국의 첨단 반도체 규제 공방에 따라, 글로벌 반도체 업계는 제품 보안 신뢰 회복과 공급망 불확실성 해소라는 과제에 직면했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논란이 엔비디아의 중국 내 사업 확대와 AI 칩 시장 안정성에 변수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등 주요 외신은 이번 발표가 미중 간 기술 패권 갈등에서 보안 리스크가 갖는 중요성을 재확인시켰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AI 및 반도체 종목 투자 시 글로벌 기업들의 보안 대응력과 각국 정책 변동성이 단기 주가 변동을 주도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미중 간 수출 규제·기술 통제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 AI 반도체 업계의 장기적 보안 신뢰 구축이 필수적 과제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국제사회는 엔비디아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의 보안 방침 및 규제 대응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