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적대성 해소에 긴 안목”…통일부, 김정은 ‘한국과 상대 안한다’ 발언에 신중 대응
남북 간 적대 성향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통일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한국과 상대하지 않겠다'는 최고인민회의 연설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내놨다. 남북관계 경색 국면에서 통일부는 원칙을 재확인하며 긴 안목하에 평화적 관계 발전을 지속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9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최고인민회의 연설에 대한 정부 입장을 질문받고 “정부는 긴 안목을 갖고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통해 남북 간 적대성 해소와 평화적 관계 발전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답변했다. 최근 김정은 위원장은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마주 앉을 일이 없으며 그 무엇도 함께하지 않을 것” “일체 상대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한다”고 발언하며 남북관계의 추가 경색을 예고한 바 있다.

통일부는 이날 "정부는 북측 체제를 존중하며,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음을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이어 "북미 대화 지원 등 평화 정책을 위한 노력도 경주해 나갈 것"이라며 기존 평화프로세스 기조도 유지할 뜻을 분명히 했다. 구 대변인은 김정은 위원장이 최근 남한 정부의 ‘중단-감축-비핵화’ 단계적 해법을 비난한 데 대해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정부 입장은 여러 차례 밝혀왔다”며 구체적 평가는 삼갔다.
김정은 위원장은 미국에 대해서는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내려놓고 현실을 인정하면 진정한 평화 공존의 길이 가능하다”고 밝혔지만, 한국에 대해서는 대화 단절 기조를 명확히 했다. 이에 따라 남북관계 경색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정치권에서는 통일부의 신중한 대응이 남북관계 급격한 추가 악화를 방지하면서, 한편으로 정부의 입장 변화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실효성 논란도 제기된다. 외교적 해법에 기대를 거는 목소리도 있지만, 최근 남북 간 신뢰 회복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는 전문가 전망이 우세하다.
통일부는 "정부는 긴장 완화와 비핵화, 한반도 평화정착이라는 대원칙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나갈 것"이라며 현행 정책 기조의 지속을 강조했다. 정부는 향후 북측의 추가 동향을 주시하며, 다양한 외교 채널을 통한 긴장 완화 방안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