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정부 R&D 35조원 투입”…기술성장·생태계 복원에 사상 최대 예산
IT/바이오

“정부 R&D 35조원 투입”…기술성장·생태계 복원에 사상 최대 예산

정하준 기자
입력

정부가 2026년도 연구개발(R&D) 투자를 35조3000억원으로 확대하며 IT·바이오 등 첨단기술 산업의 성장 전략을 본격화한다. 올해보다 19.3% 늘어난 사상 최대 규모로, 과감한 R&D 투자와 연구생태계 복원을 양대 축으로 삼아 기술패권 경쟁과 산업 고도화의 전환점을 겨냥한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전국 4개 권역 연구현장을 돌며 내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안의 주요 내용을 직접 설명하고, 산업·학계·연구기관 등 현장 전문가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가 22일부터 진행하는 이번 설명회에서는 2026년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안의 핵심이 공개된다. 올해 정부 R&D 예산 대비 19.3% 증액된 35조3000억원 중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심의한 주요 분야 예산만 해도 30조1000억원에 이른다. 이는 원천기술 확보뿐 아니라 대학·출연연·기업 간 공동연구, 혁신 인프라 구축, 글로벌 경쟁력 강화 등 전방위적으로 쓰이게 된다.  

예산안은 ‘기술주도 성장’(생산성 향상·산업경쟁력 강화)과 ‘모두의 성장’(지속가능한 연구생태계 조성) 두 축에 방점을 찍었다. 대규모 R&D 자금이 차세대 반도체·AI·바이오헬스·우주항공 등 전략산업에 투입될 전망이다. 현장 의견을 수렴해 연구자의 자율성과 안정성 높임으로써 연구 몰입 환경 조성도 병행한다.  

글로벌 시황을 감안할 때, 미국·중국·유럽이 국가 주도의 대규모 기술투자를 강화하는 가운데 우리 정부도 적극적 예산 물량 공세로 대응을 꾀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예산 집행의 투명성, 연구 성과의 산업 환류, 기존 R&D 구조 개선 등이 여전히 정책 과제로 언급된다.  

임요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조정관은 “이번 예산안은 단순한 투자액 확대가 아니라 기술주도 성장과 모두의 성장을 향한 전략적 투자를 의미한다”며 “연구자가 안심하고 연구에 전념할 수 있게 지원하고, 그 결과가 산업과 국민에게 고루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계는 사상 최대 R&D 투입이 첨단 기술 경쟁력 강화라는 실질적 변화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산업 정책과 연구 현장의 긴밀한 소통이 국가 성장의 관건이 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정하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r&d예산#과학기술혁신본부#국가연구개발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