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AI 비전으로 건설 안전 혁신”…코오롱베니트, 사고 예방 올인원 공개

조현우 기자
입력

코오롱베니트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비전 기반 안전 관제 시스템 ‘AI 비전 인텔리전스’ 올인원 어플라이언스를 본격 상용화한다. 산업현장 내 사고 대응이 초단위로 요구되는 최근 흐름 속에서, AI·신경망처리장치(NPU)·서버까지 통합한 올인원 패키지가 등장하며 산업 안전관리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이 예고되고 있다. 업계는 프리패키지 형태의 신기술 접목을 ‘AI 기반 산업안전 표준화’ 경쟁의 분기점으로 인식하고 기술 상용화 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코오롱베니트는 30일, 자체 AI 모델과 리벨리온의 신경망처리장치, 델 테크놀로지스의 파워엣지 R760xa 서버를 결합한 ‘AI 비전 인텔리전스’ 기반 올인원 어플라이언스를 공개했다. 이 제품은 서버·AI반도체·AI모델을 통합 탑재해, 산업현장에 필요한 안전 컨트롤 기능을 사전 구성된 형태로 제공한다. 델 파워엣지 R760xa 서버는 높은 안정성과 확장성을 지원하며, 리벨리온 신경망처리장치는 영상기반 AI 추론 효율을 대폭 높인다. 특히 코오롱베니트의 자체 AI 비전 모델은 안전모 미착용, 위험구역 진입, 중장비 접근 등 다양한 위기 상황을 실시간으로 자동 인식해, 맞춤형 언어 알림으로 전환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방식과 달리 설치 직후 곧바로 현장 운영에 투입할 수 있으며 사용자별 위험 시나리오 분석 등 커스터마이징 원스톱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

통상 건설 및 플랜트 산업에서는 안전사고 사전 예방을 위해 CCTV, 센서, 수작업 점검 등 다양한 방식이 혼재돼 왔다. 하지만 실시간 추론·분석 역량이 제한되고, 데이터 연계와 자동 경보 시스템의 구축까지는 긴 시간이 필요했다. 이번 ‘AI 비전 인텔리전스’ 올인원은 AI디바이스-서버-소프트웨어를 패키징해 ‘마이너스 타임’(도입 즉시 가동) 구현이 가능해졌다는 평가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AI 접목이 향후 빌딩, 공공 인프라, 제조, 물류 등 전 산업의 재난·안전 관리로 확장 적용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 글로벌 시장에서는 엔비디아, 하이크비전 등도 AI 기반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을 선보이며 산업안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관련 규제는 보안·개인정보 관점에서 엄격하게 적용되지만, 산업 현장의 안전·생명 보호 목적일 경우, AI 기반 실시간 데이터 처리는 점차 허용 범위가 넓어지는 추세다. 다만 안전 시스템의 신뢰성·사생활보호 기술 고도화 등 과제도 남아 있다는 것이 전문가 분석이다.

 

강이구 코오롱베니트 대표는 “글로벌 및 국내 선도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고객이 즉각적인 혁신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AI 기반 사업 성과 가속화를 목표로 산업별 맞춤형 비즈니스 혁신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계는 AI 융합 보안·안전 시스템이 실제 현장에 안착할지, 그리고 혁신 기술을 통한 산업 안전 표준화가 국내외로 확장될지 주목하고 있다.

조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코오롱베니트#ai비전인텔리전스#리벨리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