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K-자율주행, 고밀도 도시전략 전면화”…한국형 맞춤 해법 모색→산업 전환 신호

윤선우 기자
입력

한국 자율주행 산업의 상용화를 둘러싼 도전과 해법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소속 연구진은 최근 한국교통연구원 학술지 기고를 통해, 미국과 중국 등 선도 국가의 사례를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도시 구조와 사회·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인구 밀집도와 복잡한 도로망이 특징인 서울 등 대도시에 최적화된 자율주행 기술, 그리고 도심형 공공서비스 모델의 설계가 일차적으로 제시됐다.

 

한국의 자율주행 시험 주행거리는 72만 킬로미터로, 미국 웨이모 1억 6천만, 중국 바이두 1억 1천만 킬로미터에 비해 현저히 부족하다. 그러나 5G 통신망, 디지털 정밀지도, 스마트시티 인프라 등에서의 강점을 활용하면, 자동차 단일 제품 기술이 아닌 ‘자율주행+도시서비스’ 융합이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교통체계, 보행자 밀집, 정류장 기반 이동 등 국내 특수성을 반영한 정밀 주행 기술의 자체 개발이 시급하며, 로보셔틀 및 버스 노선 기반 자율주행 등 공공서비스형 모델이 해법으로 제시된다.

K-자율주행, 고밀도 도시전략 전면화”…한국형 맞춤 해법 모색→산업 전환 신호
K-자율주행, 고밀도 도시전략 전면화”…한국형 맞춤 해법 모색→산업 전환 신호

더불어, 기존 운수업과의 상생 구조 마련, 사회적 신뢰 제고, 직무 전환 지원 등 사회수용성 확보 전략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전문가들은 완전 무인주행과 원격 운행, 정밀지도 및 책임보험 등 핵심 인프라와 연계한 예측가능한 규제 환경 마련을 주문한다. 자율주행의 본격 도입은 기술 특화, 산업 전환, 제도 정비, 사회적 포용성 확보라는 다차원적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 자동차 산업과 사회 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좌우하게 될 것으로 전망됐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오토노머스에이투지#자율주행#한국교통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