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칼국수부터 막국수까지”…강릉 누들축제에 몰린 사람들, 면 한 그릇에 담긴 온기
면 요리를 즐기려는 사람들이 강릉 월화거리로 모인다. 이전에는 여행길의 별미로 여겨졌던 강릉의 장칼국수와 막국수가 이제는 축제의 주인공이 됐다. 향긋한 육수가 코끝을 간질이고, 갓 삶은 면발에 기대와 설렘을 얹는 모습은 어느새 일상이 돼간다.
요즘은 가족이나 친구, 연인들과 함께 음식 축제에 참여하는 모습이 낯설지 않다. SNS에서는 장칼국수부터 막국수 인증샷까지, 특별한 ‘누들 여행’ 경험을 나누는 글이 쏟아진다. 축제장을 찾은 한 방문객은 “강릉의 면 요리는 추억의 맛이면서도 항상 새롭다”고 느꼈다.

이런 변화는 축제장 곳곳에서 실감할 수 있다. 강릉누들축제의 먹거리존에서는 장칼국수, 짬뽕, 감자옹심이칼국수 등 강릉을 대표하는 다양한 면 요리가 한자리에서 펼쳐진다. 강릉의 숨겨진 맛집들이 축제장 내로 속속 들어오면서, 일상에 남아 있던 추억의 맛이 생생히 살아난다. 체험 부스에서는 직접 면을 만들 수 있어 아이부터 어른까지 함께 어우러진다.
전문가들은 지역 음식 축제가 단순히 먹거리를 넘어서 도시 고유의 문화와 공동체를 체험하는 통로라고 본다. 현장에서는 ‘나만의 누들 레시피’ 경연대회를 비롯해 포토존, 지역 예술가 공연 등 다채로운 참여 프로그램이 호응을 얻고 있다. 그만큼 행사 전체가 오감으로 소통하는 장이 되고 있다.
한 커뮤니티 댓글에서는 “이젠 국수 한 그릇도 특별한 추억이 된다”, “아이와 함께 환하게 웃으며 면발을 뽑던 시간이 오래 남을 것 같다”는 반응이 이어졌다. 영수증 이벤트와 누들 탐험 등 소소한 현장 이벤트도 일상에 녹아드는 재미를 더한다.
맛있는 음식을 매개로 모여든 사람들, 그리고 그 안에서 자연스럽게 나누는 대화와 온기는 강릉만의 정취를 깊게 남긴다. 강릉누들축제는 지역의 면 요리 문화와 일상의 온기, 그리고 음식을 통한 소통의 가치를 조용히 일깨우고 있다. 작은 한그릇이 전해주는 따스함 속에서 우리 삶의 방향도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