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혁신·일자리 거점 전국 확대”…김민석 총리, 고용 사각지대 해소 정책 시동

김소연 기자
입력

고용 사각지대를 둘러싸고 정치권이 해법 모색에 나섰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전국 혁신·일자리 거점 조성과 맞춤형 일자리 확대 방안을 언급하며, 고용 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예고했다. 25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리스타트 잡페어' 축사에서 김 총리는 사회통합적 고용서비스 강화를 핵심 정책으로 내세우며 여야의 관심을 모았다.

 

김민석 총리는 이날 "전국에 혁신·일자리 거점을 조성해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통합 고용서비스를 강화해 고용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민간 기업이 일자리 창출을 하고, 정부도 함께 힘을 합쳐야 한다"면서 "이재명 정부는 노동시장 구조 개선으로 실효성 있는 일자리 정책을 펼치겠다"며 정책 방향성을 제시했다.

특히, "채용 연계형 직업 훈련을 통해 구직자들의 역량을 키우고, 구직 촉진 수당을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등 취업 활동을 든든하게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직업훈련과 구직촉진수당 인상 등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구체 정책이 언급돼, 취업 준비생들과 청년층의 기대감도 높아졌다.

 

정치권의 반응은 다양하다. 여당은 김 총리의 실질적 대책 제시에 환영 입장을 보였지만, 일부 야당에서는 노동시장 구조 개선의 세부 방안과 예산 확보 등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혁신 거점 조성과 고용서비스 확대가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평가했다. 그럼에도 정부 정책이 현장과 충분히 소통해야 한다는 주문도 나왔다.

 

이날 현장에는 청년 구직자와 기업 관계자들도 대거 참석해, 정책에 대한 실효성에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정부는 이날 발표된 정책 방향을 토대로 후속 세부방안을 마련하고, 고용시장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지속적으로 정책을 보완하겠다는 방침이다.

김소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민석#이재명정부#고용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