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프라임 유도 논란”…아마존, FTC와 3조 합의 → 플랫폼 윤리 기준 강화

강다은 기자
입력

아마존이 미국 연방통상위원회(FTC)와 프라임 회원 유치 관행을 둘러싼 분쟁에 대해 25억 달러(약 3조5225억 원)의 벌금 및 배상금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조치는 전자상거래 빅테크 기업의 소비자 보호 기준과 영업 방식 전환에 중대한 함의를 지닌다. 미국 내 약 2억 명이 이용하는 프라임 서비스의 시장 영향력을 감안할 때, 업계는 이번 합의를 ‘플랫폼 사업자 거래의 윤리 기준 전환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아마존은 프라임 가입 유도 과정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회원 가입을 쉽게 유도하고, 탈퇴 절차를 복잡하게 만들어 소비자 권익을 침해했다는 논란에 직면해 왔다. FTC는 2019년 이후 프라임 회원 가입을 원하지 않는 경우 ‘무료 배송 불원’ 링크를 찾아야만 하는 등 가입을 회피하기 어렵게 고안된 UI(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탈퇴 과정에서 복잡한 절차를 지적해 왔다. 이에 따라 아마존은 위법 사실은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재판 개시 직후 FTC와 합의에 나섰다.

기술적 측면에서 아마존은 자사 플랫폼 내 대형 버튼과 동적 설계(UI/UX)를 활용해 가입률을 높이는 다크 패턴(Dark Pattern) 기법을 사용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무료 당일 배송 받기” 등 시각적 강조 요소를 활용한 반면, 가입 의사가 없는 고객에게는 회색 글씨로 조용히 링크를 노출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이번 합의로 인해 아마존은 이러한 흔적을 10년간 명시적으로 중단해야 한다.

 

소비자에게 직접 적용되는 보상 방안도 마련됐다. 2019년 6월23일부터 2025년 6월23일 사이 가입자 중 프라임 혜택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1인당 51달러(약 7만2000원)을 돌려받게 되며, 의도치 않게 가입됐거나 탈퇴를 시도하다 실패한 경우에도 동등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 업계는 아마존이 총 10억~15억 달러를 배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글로벌 이커머스 업체들의 경쟁 프레임에서는 대규모 회원 기반 확보와 이탈 방지 설계가 핵심 비즈니스 전략으로 간주됐다. 미국·유럽 규제 당국이 최근 플랫폼 서비스의 투명성과 소비자 권리 보호를 강화하는 만큼, IT 대기업들의 영업 관행도 전환점을 맞고 있다. FTC 등 규제기관은 이용약관 및 UI의 직관성, 탈퇴 절차의 간소화 등 후속 관리·감독을 예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데이터 독과점과 플랫폼 내 고착화된 영업 기법이 글로벌 IT산업의 주요 규제 대상이 됐다는 점을 강조한다. “아마존 사례 이후 플랫폼 사업 모델 전반에 걸쳐 소비자 투명성 요구가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비즈니스 구조 조정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강다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아마존#프라임#f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