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생중계 OTT 본격 진출”…넷플릭스, MLB 3년 중계권 확보로 시장 재편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의 경쟁 구도가 빠르게 변하고 있다. 넷플릭스가 미국 메이저리그(MLB) 중계권을 2026년 시즌부터 확보하면서 스포츠 생중계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업계에서는 넷플릭스의 이번 MLB 사무국과의 3년 중계권 계약이 미국 스포츠 미디어 산업의 판도를 바꾸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디어 플랫폼 주도의 중계권 경쟁이 기존 방송사 중심 구조를 대체하는 흐름 속, 넷플릭스가 연평균 약 2억2500만달러에서 2억5000만달러(한화 3175억~3527억원)를 투자하며 시장 영향력을 키우는 모습이다.
넷플릭스가 확보한 2026시즌 MLB 중계권에는 정규리그 개막전을 비롯해 올스타전 홈런더비 등 스포츠 이벤트가 포함됐다. 미국 NBC 및 피콕과 공동 중계하는 이벤트도 있어, 기존 방송·스트리밍 플랫폼 간 협업 및 경쟁 구도가 동시에 전개된다. MLB 사무국은 이번 계약으로 팀별·지역별·이벤트별 중계권을 세분화해 판매하는 전략을 더 강화했다. 해당 시즌 첫 경기인 뉴욕 양키스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경기(3월26일)는 단독 편성으로 결정돼, 주전 외야수 이정후가 소속된 샌프란시스코의 개막전이 미국 전역에 넷플릭스 라이브로 방영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ESPN이 선데이 나이트 베이스볼, 포스트시즌 등 핵심 경기의 중계권을 연평균 5억5000만달러(약 7751억원)에 독점해왔으나, 2026시즌부터는 중계권을 포기하며 OTT 중심으로 권리가 이동하게 됐다. 넷플릭스는 최근 일본의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중계권, 월드레슬링엔터테인먼트(WWE), 미국프로풋볼(NFL) 크리스마스 게임 등 다양한 스포츠 중계 분야로 진출 중이다. 2027년과 2031년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내 독점 중계권 역시 이미 확보해,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시장에서도 입지를 넓히는 중이다.
특히 이번 진출은 NFL+, Max(구 HBO Max), Disney+ 등 미국 주요 OTT 플랫폼들도 스포츠 라이브 콘텐츠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업계 트렌드와 맞물린다. 전통적 방송사 모델이 급격히 해체되는 한편, 구독형 스트리밍 서비스가 단순 엔터테인먼트에서 실시간 스포츠 등 실시간 대규모 트래픽을 견딜 수 있는 인프라 경쟁으로 확장되는 흐름이다. 미국 방송사 NBC·피콕과의 공동 중계처럼, 미디어 생태계 내 새로운 경쟁과 협업 방식이 본격화된다고 해석된다.
중계권 공급방식의 다변화 역시 시장 구조에 영향을 준다. MLB는 경기별, 이벤트별로 중계권자를 달리 지정하며 수익원을 극대화하는 매트릭스 전략을 도입했다. 이런 방식은 미국 미디어 법제와 저작권 환경 변화, 시청자들의 플랫폼 소비 행태 변화와 궤를 같이 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내외 OTT, 방송사, 스포츠 리그가 각기 대응하려는 움직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업계 전문가들은 “넷플릭스의 스포츠 생중계 진출은 OTT 산업의 새로운 성장을 견인할 요인”이라며 “실시간 스트리밍의 품질, 저작권 분쟁 최소화, 시청 경험 혁신 등이 상용화 성패의 핵심변수로 떠올랐다”고 진단한다. 실제로 글로벌 시장에서는 스포츠 중계권 확보가 콘텐츠 경쟁력과 플랫폼 확장 여부를 좌우하는 현상이 뚜렷하다.
산업계는 넷플릭스를 필두로 한 플랫폼 기반 스포츠 중계가 미국을 넘어 글로벌 미디어 패권을 재편할지, 실제 시장 안착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산업, 시청환경의 변화가 미디어-스포츠 융합 생태계의 새 성장 조건으로 떠오른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