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긴장·적대 계속 못 살아”…정동영, 민간 역할 확대 주문
남북 관계를 둘러싼 긴장과 적대감이 지속되는 현 상황에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민간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하며 정국 변화를 촉구했다. 이날 경기도 연천 국립통일교육원 한반도통일미래센터에서 열린 남북 사회문화교류 및 대북 인도지원단체 초청 행사에서 정동영 장관은 "남북이 지금처럼 긴장하고 대립하고 적대하며 살 수 없다"고 밝혀, 남북 대치 국면에서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정 장관은 남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를 비롯해 38개 대북 민간단체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특별강연에서 "민간단체 여러분들이 남북 교류와 협력의 개척자인 만큼 다시 대화의 접점을 찾고 교류협력의 시대를 함께 열어가자"고 강조했다. 전날 기자단과의 자리에서도 "북에 갈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오면 방북도 전면적으로 허용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어, 민간 교류 확대 방침에 힘을 실었다.

정부의 이 같은 기조에 대해 일각에서는 대화를 통한 상황 관리가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보수 진영에서는 남북 간 접촉 확대가 자칫 안보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며 신중론을 거듭 제기한다. 현장 참석자들 사이에서도 “공공외교의 틀을 넘는 시민 중심 접근이 답”이라는 지적과, "후속 실천 계획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맞섰다.
같은 날 통일 정책의 또 다른 얼굴로는 김남중 통일부 차관이 언급됐다. 김 차관은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민족통일문화제전 시상식에 참석해 청소년들이 출품한 평화 관련 창작물을 직접 참관했다. 그는 "평화통일은 한반도의 지속 가능한 번영과 민족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가야 할 길이다"며, "미래세대가 통일의 꿈을 키워갈 때 한반도의 미래는 더욱 희망차게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남북간 민간 교류와 청소년 평화 교육 등 ‘생활 속 통일 공감대’ 확산을 정책의 또 다른 축으로 삼고 있다. 향후 통일부는 민간 차원의 남북 접촉 기회를 더욱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