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 NDC, 내연기관 퇴출 논란”…KAIA, 산업생태계 균형 해법 제시→신중론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 수립이 국내 자동차 산업계에 깊은 균열과 해법 모색을 요구했다.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는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개최된 '2035 수송 부문 NDC 긴급간담회'에서, 정부가 제시한 온실가스 감축률 48~65%의 각 안이 사실상 내연기관 차량의 판매 금지에 준하는 초강력 보급 목표임을 지적했다. 산업 전반의 급격한 전동화 요구가 자동차 부품 산업 생태계와 연관 산업에 미칠 파장으로 인해 현실적 조율이 거론되고 있다.
실제 정부의 ‘최저’ 감축안인 48%조차 840만 대, 상위안은 980만 대의 무공해차 보급을 전제로 한다. 이는 2024년 기준 국내에 보급된 86만 대와 견주어 약 10배에 달하는 수치로, 10년 이내 내연기관이 중심인 산업구조를 완전히 전동화하기에는 산업의 체질과 부품업계의 투자 여력, 기술 개발 속도 등에서 복합적 제약이 드러난다. 글로벌 주요국 또한 전동화 속도를 조절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 부품기업들은 미국 관세와 전기차 시장 성장정체 등 이중고에 직면하고 있음을 토로했다.

학계와 연구계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하이브리드(HEV) 등 다각적 동력원의 공존과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무공해차 연구개발 투자를 강조했다. KAIA 측은 업계의 과도한 규제 부담이 중국산 전기차 등 수입차 시장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을 경고하며, 산업 생태계 전환력과 현실을 반영한 목표 수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합회는 향후 업계 의견을 수렴한 건의서를 정부와 국회에 전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