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민주주의 복귀 강조·관세협상 강조”…이재명, 방미 후 귀국 뒤 민생·APEC 총력

윤선우 기자
입력

한미 외교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3박 5일간 미국 뉴욕 일정을 끝내고 25일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유엔총회 참석과 관세협상, 글로벌 투자 유치 등 굵직한 이슈를 두고 국내외 정국의 중심에 선 모습이다. 연휴를 앞둔 시점에서 여야의 치열한 대치와 협치 가능성도 재주목 받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방미에서 첫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12·3 비상계엄 사태를 극복한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국제사회 복귀"를 선언하며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국격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어 월가에서는 "한국은 세계 금융 시장의 중요한 파트너"라며 투자 유치 활동에 박차를 가하기도 했다. 한반도 상황과 관련해서는 포괄적 해법을 담은 'END 이니셔티브'를 직접 밝히며 평화 외교 구상에 힘을 실었다.  

관세협상 문제와 관련해선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별도 접견을 가졌다. 이 대통령은 "국익을 해치지 않는 합리적 협상 조건이 필요하다"며 정부 공식 입장을 전달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개별 회담은 이뤄지지 않은 채 다음으로 미뤄졌다.  

 

정치권은 이 대통령의 방미 성과와 관세협상 입장에 엇갈린 반응을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한민국의 위상 강화를 이끌고 국익을 지켰다"며 긍정 평가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 성사 불발 등 실질적 성과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민생과 여야 협치 복원에 대한 책임론도 언급되고 있다. 한 전문가는 "국내외 현안이 복합적으로 얽힌 만큼, 대통령 리더십이 향후 정국을 좌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제 시선은 한 달 뒤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로 쏠린다. 이 대통령은 "정상회의 준비에 총력을 기울여, 한미정상회담과 관세협상 진전을 도모할 계획"이라는 뜻을 참모진에 전했다.  

 

한편 국내에선 추석 연휴와 더불어 정부조직법 개정,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를 둘러싼 여야의 격돌이 이어지고 있다. 정치권은 대통령의 귀국 이후 민생 안정과 협치 복원이라는 숙제를 두고 저마다 해법 모색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유엔총회#관세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