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협력기구 공식 제안”…중국, 미국 맞서 AI 주도권 경쟁 점화
인공지능(AI) 기술이 글로벌 질서 재편의 핵심축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중국이 AI 분야 국제 협력기구 설립을 공식 제안했다. 리창 중국 총리는 국제 AI 콘퍼런스 개막 연설에서 AI 경험과 기술을 전 세계 국가, 특히 ‘글로벌 사우스’와 공유하겠다며 AI 글로벌 협력기구 창설 의지를 표시했다. 미·중 모두 ‘AI 행동 계획’을 발표하며 서로 다른 AI 거버넌스 설계를 내세워, 업계는 이번 발표가 ‘차세대 디지털 패권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 보고 있다.
중국은 대규모 언어모델, 멀티모달모델 등 AI 최신 기술과 산업 적용 성과를 내세우면서, “AI는 이제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동력”이라고 평가했다. 동시에 대규모 AI 확산이 야기할 수 있는 위험성과 도전도 인정하며 개발과 보안의 균형, 그리고 AI 활용의 국제적 공공재화를 공식 천명했다. AI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확대하고, 특히 신흥시장 국가의 역량 강화를 명분으로 내세운 점이 특징이다.

이번 논의의 핵심은 AI 기술·거버넌스 표준의 국제 동맹 구도다. 중국은 다자주의와 포용적 협력 생태계 구축을 전면에 내걸고 있다. 반면, 미국은 동일 시기에 자국 AI 기술·장비의 중국 수출 제한, 중국산 AI 모델 확산 차단을 담은 AI 행동계획을 내놓으며, 진영 분할형 규제·표준 전략을 강화했다. 양국 모두 AI를 통한 경제·안보 영향력 확대를 노리고 있어, 제도적·정치적 파급력이 클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공개한 ‘AI 글로벌 거버넌스 행동 계획’에서는 데이터·표준 합의, 친환경 AI, 산업별 혁신 확산 등 8대 협력 원칙을 명시했다. 이에 맞서 미국은 일본, 호주 등 동맹과의 긴밀한 협력 기반을 구축 중이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AI 신뢰성, 책임성, 데이터 개방성 등 국제 공통 규범 마련 경쟁이 본격화된 상황이다.
AI 패권 경쟁이 기술력뿐 아니라 법적·정치적 틀의 주도권 문제로 비화됨에 따라, 각국 산업계에서는 향후 데이터 무역, 인력 이동, 표준 인증 등 실질적 시장 장벽이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 전문가들은 양 진영으로의 분할 구도가 가시화될 경우 한국 등 중견국의 전략적 선택지가 좁아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글로벌 AI 거버넌스 논의가 점차 정교해지는 가운데, 산업계는 이번 중국 제안이 실제 협력기구로 실현되고 각국 표준·규범 정책에 어떻게 연결될지에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질서, 경쟁과 협력 사이의 미세 균형이 당분간 산업 발전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