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백억 배당금 지급 합의”…김정관, 중국 풍력사업 현안 해결 급진전
중국 풍력발전 합작사업을 둘러싼 한국전력공사와 현지 기업 간 미수 배당금 문제가 정부 차원의 개입으로 해결 국면에 들어섰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직접 나선 외교적 조율이 결정적 계기가 됐다.
한국전력은 9월 25일 중국 측 합작사인 다탕그룹과의 협의를 통해, 풍력발전 사업 미수 배당금 약 900억원을 오는 10월까지 모두 지급받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합작 투자는 한전이 2005년 중국 다탕그룹과 공동으로 시작한 사업으로, 네이멍구자치구, 랴오닝성, 간쑤성 내 총 1천24MW 규모의 풍력발전 운영이 핵심 내용이다. 한전은 약 2천300억원을 투자해 40% 지분을 보유 중이다.

그동안 해당 프로젝트는 중국 정부의 신재생 보조금에 기대어 수익구조가 짜였으나, 중국 내 설비 급증으로 인해 정부 보조금 지급이 지연되면서 현금 흐름이 악화됐다. 이 여파로 한전이 받아야 할 누적 배당금 900억원이 수년간 지급되지 않는 문제가 이어졌다.
문제 해결의 전환점은 최근 정부의 공식 교섭이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8월, 부산에서 열린 APEC 에너지 장관회의에 참석한 왕훙즈 중국 에너지국 국장(장관급)에게 배당금 미지급 해소를 정식 요구했다. 이후 중국 다탕그룹에서 첫 배당금 145억원이 9월 초 한전에 송금됐고, 지난 23일 김동철 한전 사장이 방중해 주주 간 회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나머지 753억원도 10월까지 모두 지급하겠다는 중국 측 확약이 나왔다.
한국전력은 "이번 성과는 산업부, 한전, 주중 한국대사관이 공동으로 움직인 대표적 성공 사례"라며 외교적 채널, 정부 지원, 기업이 합쳐진 삼각 협력의 결과임을 강조했다. 또 “해외 사업 환경에서 기업 단독으로는 극복하기 힘든 각종 규제와 제도적 장벽이 있었지만, 외교적 지원을 통해 실질적 결과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정부의 적극적 대응이 침체된 해외 투자 사업에 새로운 돌파구를 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해외 진출이 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례는 공기업과 정부, 외교당국의 유기적 협력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향후 한국전력은 중국 풍력사업 배당금 정상 입금과 함께, 신재생에너지 해외 사업 모델의 위험 관리와 제도 보완 방안을 추가로 논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