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김밥, 놀림거리에서 인기 음식으로”…김혜경 여사, 뉴욕 현장서 K푸드 전파 강조

신도현 기자
입력

한식과 한국 문화의 세계적 확산을 둘러싸고 김혜경 여사가 미국 현지 주요 인사들과 적극적 소통에 나섰다. 25일(현지시간) 뉴욕한국문화원을 찾은 김혜경 여사는 현지에서 활동 중인 청년 문화예술인들과 교류의 장을 마련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뉴욕을 공식 방문 중인 김 여사는 전 세계 곳곳에서 한국 음식이 사랑받고 있는 현상을 두고 “과거 놀림거리였던 김밥 도시락이 이제는 미국 등지에서 폭넓은 인기를 얻고 있다”고 언급하며, 최근 K푸드와 한국문화의 위상 변화에 주목했다.

 

김혜경 여사의 이날 인사에는 미국 변호사 겸 싱어송라이터 이소은, 착시미술 아티스트 윤다인,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소프라노 박혜상 등 청년 예술인들이 참석했다. 김 여사는 “이 대통령이 예술인들과의 만남에서 꼭 현장의 어려움과 필요한 점을 들려달라고 전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서 온 큰언니라고 생각하고 편하게 말씀해달라"고도 전했다.

김천수 주뉴욕문화원 원장은 “대한민국 현대 예술의 미래를 책임질 재능들이 이 자리에 있다”며, 짧은 일정에도 시간을 쓴 김혜경 여사에게 감사의 뜻을 밝혔다.

 

한편 24일에는 뉴욕한국문화원에서 열린 K푸드 현장 간담회에 참석해, 다양한 한식 전문가들과 한식의 미국 내 확산 현상을 논의했다. 김 여사는 “10년 전만 해도 김밥이 미국 학교에서 놀림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한식의 인기가 엄청나다”며 “앞으로 세계 여러 나라에 한식을 알리는 데 더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김 여사는 간담회에 이어 뉴욕 코리아 소사이어티에서 열린 한식 요리교실에 직접 참여해 현지 교민 어린이들과 김밥을 함께 만드는 시간을 가졌다.

 

이와 더불어, 김 여사는 유엔 사무국 내 '유엔 한국문화 동호회' 회원들과의 오찬에도 참석했다. 여기서 한 필리핀 출신 회원은 “한국 드라마와 문화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고 말했고, 일본 출신 회원은 “아들이 태권도 검은띠를 땄다”며 뉴욕 내 태권도 인기를 전했다. 김 여사는 “요즘 한국문화가 세계인의 공감대를 얻는 공동 자산이 된 것 같아 자부심을 느낀다”고 화답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김혜경 여사의 뉴욕 일정이 단순한 문화 교류를 넘어, 한국의 소프트파워 확장과 한미관계 내 다양한 민간교류 확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현지 동포사회와 전문가들은 “K푸드와 한류 확산의 현장이자, 청년 예술인 육성과 외국 주요인사 우호 네트워크 확장의 계기가 됐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이날 뉴욕한국문화원을 중심으로 이어진 행사들은, 한국 정부의 문화외교 정책과 연계돼 앞으로 다양한 국가에서의 한식 및 한류 콘텐츠 확산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혜경#뉴욕한국문화원#k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