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1만5천 달러선 회복”…미국 기관 매수세에 불안 심리 완화 전망
4일(현지시각), 미국(USA)에서 최근 고용 지표 부진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강화 논란에도 불구하고, 대표 가상화폐 비트코인(Bitcoin)이 11만5천 달러선을 회복했다. 이번 가격 반등은 기관투자가의 대규모 매수세가 유입되며 시장 내 과도한 공포 심리가 해소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비트코인 가격은 미 동부 시간 기준 4일 오후 7시 27분, 미국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에서 전일 대비 0.77% 오른 11만5천306달러에 거래됐다. 이는 지난달 말 이어진 인플레이션 우려와 고용 악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역 관세 정책 등 복합 이슈 속에서 한때 11만2천 달러까지 하락했던 데서 의미 있는 반등이다. 비트코인 가격은 현 최고점인 12만3천 달러에 비해 여전히 10% 낮은 수준이나, 투자심리의 회복 조짐에 주목하는 시각이 커졌다.

가격 반등의 배경에는 기관투자자의 확실한 매수세가 자리 잡았다. 세계 최대 비트코인 보유 기관 중 하나인 ‘스트래티지(Strategy)’는 7월 28일부터 8월 3일까지 2만1천21개, 약 24억6천만 달러에 이르는 비트코인을 매입했다고 밝혔다. 2020년 말 가상화폐 시장 진입 이후 최대 규모의 단기 매집 사례로, 스트래티지는 이번 거래로 비트코인 62만8천791개를 보유하게 됐다.
시장 전문가는 가격 하락 촉발 요인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과 트럼프 관세 정책 등 지정학적 악재를 꼽으면서도, 최근 하락 속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투자자 불안 심리가 다소 진정됐다고 진단했다. BTSE 최고운영책임자(COO) 제프 메이(Jeff Mei)는 “미국 시장 개장 전부터 저가 매수세가 뚜렷하게 유입됐다. 트럼프 관세 영향 등으로 인한 과도한 공포 심리가 해소되는 모습”이라고 강조했다.
비트코인 반등은 이더리움(6.19% 상승, 3천723달러), 리플(4.20% 상승, 3.08달러), 솔라나(4.18% 상승, 169달러), 도지코인(5.43% 상승, 0.21달러) 등 주요 알트코인으로도 확산됐다. 각국 금융당국과 글로벌 투자자들은 당분간 미국의 고용 지표와 정책 불확실성, 이에 대응한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USA) 주요 경제 매체와 암호화폐 전문 외신들은 기관 매수세가 불안 심리 완화에 주요 작용을 했다고 평가하며, 물가·고용 등 핵심 경제지표 발표에 따라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주목했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는 “주요 기관의 추가 매입과 정부 정책 이슈가 단기적 시장 방향을 결정지을 수 있다”며 관망세 확대를 시사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비트코인 등 주요 가상자산 시장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며, 기관투자자 동향과 미국(USA) 경제지표, 글로벌 정책 변화가 가격 흐름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제사회는 향후 발표되는 정책 및 투자자 심리 변화에 따라 가상화폐 시장의 추가 반전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