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장학·연구·주거 전폭 지원”…서울시, 첨단산업 인재 모은다
서울시가 ‘이공계 전성시대’를 선언하며 첨단산업 중심의 인재 양성 체제로의 대전환에 나섰다. 반도체, AI, 모빌리티 등 미래 성장동력 분야 인력 부족이 심각해진 상황에서, 시는 학비·연구비·주거비 부담을 전면 해소하는 3NO 1YES(학비, 연구비, 주거비 NO, 과학기술인 자긍심 YES) 정책 패키지를 25일 발표했다. 업계는 이번 방안이 국내 과학·공학 인재 공급구조 변화의 분기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서울시는 장학금 신설, 중장기 연구비 지원, 주거 지원 확대를 통해 이공계 인재의 연구·학업 몰입도를 높이는 한편, ‘서울 과학인의 상’, 국제행사 진출 지원 등 사회적 위상 제고에도 나선다. 주요 핵심책으로는 ‘이공계 미래동행 장학금’ 신설이 꼽힌다. 지원 대상은 기존 석·박사에서 박사 후 과정까지 넓혀, 석사 2000만원·박사 4000만원·박사 후 6000만원 등 단계별 연간 지원이 대폭 확대된다. 이는 생활비 부담으로 인한 우수 인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특히 ‘서울 라이즈 텐 챌린지’는 단기 실적 중심 지원의 한계를 뛰어넘어 연구자가 최대 10년간 안정적으로 도전적 연구에 몰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존에는 연 단위 지원과 조기 성과 압박 등으로 창의적 연구가 제약된 측면이 많았다.
아울러 첨단산업 인재가 서울에 모일 수 있도록 ‘이공계 인재 성장주택’을 공급, 주거비 부담 완화를 병행한다. 이밖에 우수 연구성과자는 시에서 신설한 ‘서울 과학인의 상’과 국제학회·CES 등 세계무대 진출 지원을 받아 자긍심을 높일 기회도 제공된다.
글로벌 과학기술 경쟁이 본격화된 가운데, 각 지자체와 대학, 중앙정부가 연계해 이공계 인재에 선택적 지원을 집중하는 전략은 해외 주요 도시에서도 속속 도입되는 추세다. 미국·유럽은 인력·자금 집중을 위한 지역 특화 산학연 협력체를 확장 중이고, 일본도 반도체·AI 인재 핵심도시 육성에 대거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의대 선호 및 진학 쏠림 현상이 과학·공학 기초연구 저변 약화로 연동되는 문제가 지속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이공계 우대 문화’ 정착, 연구비·주거비 제약 제거 등 인재 순환 생태계 재구축에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패널 토론에서는 인재 양성 정책의 우선순위, 연구·창업·취업 환경 개선, 현장 목소리 반영 방안 등이 논의됐다. 시는 토론 결과와 현장의 의견을 정책 설계와 실행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공계 전성시대 실현을 위해 사회적 인정, 실질 지원, 안정적 연구 환경 보장이 삼박자로 작동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업계는 서울시 전략이 실제 시장 및 산업 현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