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특검, 공수처장 소환 하루 연기”…오동운, 직무유기 피의자 신분 조사 임박
정치권이 뜨겁게 맞붙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채상병 사망 사건 수사 지연·방해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오동운 공수처장 소환 일자를 하루 늦췄다. 이로써 수사 지연 논란의 정점에 서 있는 오 처장은 내달 1일 피의자 신분으로 첫 소환 조사를 받게 됐다.
이명현 특별검사팀은 30일 오후 언론 공지를 통해 "오동운 처장의 조사 일정이 변호인 요청에 따라 11월 1일 오전 9시 30분으로 변경됐다"고 밝혔다. 당초 특별검사팀은 오 처장의 변호인과 협의해 10월 31일 같은 시간에 조사를 진행하기로 했으나, 일정이 하루 연기됐다.

오동운 공수처장은 지난해 8월, 송창진 전 공수처 부장검사가 채상병 사건 관련 국회 증인 출석 당시 위증한 혐의로 고발됐음에도, 이를 약 1년간 대검찰청에 통보하지 않은 혐의(직무유기)로 수사를 받고 있다. 현행 공수처법상 공수처장은 소속 검사의 범죄 혐의 인지 시 대검에 관련 자료를 즉시 전달해야 한다는 점에서, 오 처장의 대처가 적정했는지 특검팀이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특히 특검팀은 오 처장이 송창진 전 부장검사로부터 무죄 취지의 보고서를 받았음에도 대검 통보를 미루는 등, 사안 전체의 수사 지연 및 방해 가능성에 대해 실체 규명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오동운 처장은 이날 처음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될 예정이었기에, 그 배경을 둘러싸고 여야 내부의 신경전도 거세다.
송창진 전 부장검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 2009년 대구지검, 2011년 대검 중앙수사부에서 함께 근무한 경력이 있어 '친윤 검사'로 알려져 왔다. 그는 2023년 7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해병대 수사 외압 건에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가 연루된 사실을 몰랐다"고 진술했다가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에 의해 위증 혐의로 고발됐다. 당시 송 전 부장검사가 공수처 차장 대행이었던 만큼, 민주당은 그의 진술을 문제 삼으며 진상규명을 요구해왔다.
정치권과 시민 단체는 오동운 처장의 소환과 관련해 철저한 진상 규명을 촉구하면서도, 절차적 공정성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사기관 간 신속한 정보 공유와 법적 의무 이행은 공직 신뢰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채상병 사건을 둘러싼 수사 및 책임 소재 논란이 장기화됨에 따라 국회에서는 공수처 운영의 투명성 제고 필요성도 다시 제기되고 있다. 이명현 특별검사팀은 향후 오동운 처장 조사를 시작으로, 관련자 조사와 기록 검토를 거쳐 사건의 실체 해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