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제2공항 조류 충돌 위험, 고의로 축소?”…도민단체, 환경평가 신뢰성 논란
사회

“제2공항 조류 충돌 위험, 고의로 축소?”…도민단체, 환경평가 신뢰성 논란

한지성 기자
입력

제주 제2공항 조류 충돌 위험성이 당초 평가에 비해 의도적으로 축소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제2공항 추진에 반대해 온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이하 비상도민회)는 22일 오후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2023년 제출된 전략환경영향평가 본안이 2021년의 평가서보다 조류 충돌 위험을 현저히 낮게 산정했다”고 비판했다.

 

비상도민회에 따르면, 2021년 평가 재보완서에서는 제2공항의 조류 충돌 위험도가 제주공항 대비 최대 20배, 무안공항 대비 최대 568배로 나타났다. 그러나 2023년 2차 본안 평가서에서는 각각 8.3배, 229배로 대폭 낮아졌다. 단체 측은 “이 같은 변화는 조류 충돌 건 중 조류 종류가 확인되지 않은 ‘불명’ 사례를 통계에서 제외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실제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제주 일대에서 발생한 조류 충돌 사례 238건 중, 조류 종이 확인된 것은 26건에 불과했다. 나머지 212건(전체의 약 89%)이 평가에서 빠지면서, 위험성이 통계적으로 축소됐다는 게 단체의 주장이다. 비상도민회는 “대부분의 사례가 통계에서 제외된 결과로, 위험의 실체를 가리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2021년 평가서에서 고위험 종으로 분류된 상당수 조류 종이 2023년 평가 본안에서는 대부분 누락되고 단 5종만 위험종으로 제한된 점도 비판했다. 단체는 “이 같은 축소는 전략환경영향평가 통과를 위한 의도적 조작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제2공항 건설의 정당성을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제주도 당국 등은 아직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향후 환경부 및 관계 기관의 평가 자료 공개 여부와, 해당 논란의 추가 검증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도내 환경단체들은 “조류 충돌 위험 축소를 둘러싼 의혹을 철저히 해소해야 한다”며, “전문가 참여 및 투명한 정보공개가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사안은 향후 환경영향평가 제도 개선 여부와 함께, 대규모 국책사업의 투명성 문제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경찰 및 관계 당국은 관련 자료의 신빙성 여부를 확인하는 등 후속 조사를 병행할 계획이다.

한지성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전략환경영향평가#제주제2공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