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피해자 명예회복 기렸다”…오월단체, 김영삼 전 대통령에 감사패 전달 추진
5·18 민주화운동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두고 오월단체와 정부가 다시 맞붙었다. 오월단체는 김영삼 전 대통령의 10주기를 맞아 피해자 명예회복에 기여한 공로를 재조명하며, 감사패 전달 논의를 공식화했다. 감사패 전달 여부를 둘러싼 논의는 5·18 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미와 정치적 유산을 둘러싼 세대·계층 간 갈등도 수면 위로 끌어올리고 있다.
5·18 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 등 3개 단체는 6일 서울에서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과 만나 김영삼 전 대통령에게 감사패를 전달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정부의 공식적 지원을 요청했다. 단체 측은 "구체적 문구와 전달 방식은 아직 논의초기"라며, "5·18 기념재단 등과 협의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5·18 감사패는 김 전 대통령의 10주기 추모식이 예정된 11월께 서울 국립현충원에서 유족에게 전달하는 방식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패 추진 제안은 5·18 유족회 양재혁 회장이 처음 내놓았으며, 부상자회, 공로자회도 뜻을 모았다. 단체 측은 "김 전 대통령의 정치적 결단 덕분에 5·18 관련자와 광주시민 사이에 남아 있던 한이 풀렸다"고 평가했다. 양 회장은 "그동안 피해를 입었던 5·18 관계자, 광주시민들의 고통이 김 전 대통령 결정에 의해 어느 정도 해소됐다"며 "대통령에게 감사패를 전달하는 최초의 논의"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정치권에서는 김영삼 전 대통령 재임 기간의 역할을 새로 평가하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김 전 대통령은 5·18 민주화운동 유혈 진압 주체였던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의 수사를 지시해 구속기소로 이끈 바 있다. 1995년엔 헌정질서 파괴범죄 공소시효 정지 조항이 담긴 ‘5·18 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 제정과 5·18 유공자들이 안장된 국립 5·18 민주묘지 조성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 이에 대해 5·18 단체 측은 “역사적 단죄와 피해자 명예회복의 결실을 남긴 대통령을 기리기 위한 감사패”라고 설명했다.
이번 감사패 추진은 5·18 민주화운동 평가와 과거사 대면에 대한 대중적 논쟁을 다시 자극하고 있다. 정치권과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대통령이 주도한 최초의 가해자 단죄와 피해자 명예회복 사례”라며, 한국 민주화 역사의 전환점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적지 않다. 반면, 구체적 전달 방식과 문구 등은 여전히 내부 논의를 거쳐야 한다는 신중론도 남아 있다.
오월단체와 보훈부 등 관련 기관은 향후 5·18 기념재단과 긴밀한 협의를 이어가며 11월 추모식까지 실무방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정치권은 5·18 명예회복을 둘러싼 이번 논의가 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재평가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