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구리 가격 3.7% 급등”…인니·콩고·칠레 광산 사고, 글로벌 공급망 위기 고조

오예린 기자
입력

현지시각 24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구리 가격이 전일 대비 3.7% 급등한 t당 1만350달러로 집계됐다. 주요 광산에서 잇따라 발생한 산사태·홍수·터널 붕괴 등 사고가 글로벌 공급망 차질 우려를 확산시키며, 구리 가격이 15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기차·신재생에너지 등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구리의 수급 안전성에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구리 가격 급등은 미국 광산업체 프리포트 맥모란(Freeport-McMoRan)이 최근 인도네시아(Indonesia) 그라스버그(Grasberg) 광산 산사태로 인한 공급 계약 불가를 공식 통보하며, 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진 데에서 비롯됐다. 회사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불가항력'을 선언했고, 이에 따라 뉴욕 증시에서 주가가 10% 넘게 하락했다. 그라스버그 광산은 구리 생산의 핵심 거점으로, 구조 작업이 3주째 이어지는 가운데 정상화 시점 역시 2027년으로 밀렸다.  

구리 가격 3.7% 급등…세계 3대 광산 연쇄 생산 차질 영향
구리 가격 3.7% 급등…세계 3대 광산 연쇄 생산 차질 영향

공급망 불안은 그라스버그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올 5월에는 콩고민주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Congo) 카모아-카쿨라(Kamoa-Kakula) 광산에도 홍수 피해가 발생했고, 7월 칠레(Chile) 엘테니엔테(El Teniente) 광산에서는 터널 붕괴로 6명이 사망해 생산이 중단됐다. 세계 최대 구리 생산사인 칠레 국영기업 코델코(Codelco)는 올해 생산량이 당초 전망보다 약 11% 급감한 30만톤 규모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공급 불안 우려가 현실화되면서 각국의 반응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우드 매켄지(Wood Mackenzie)의 찰스 쿠퍼 구리 리서치 책임자는 “세계 대형 구리 광산 3곳이 연이어 멈출 경우, 글로벌 공급 스트레스가 심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장 분석가들은 올해 구리의 전 세계 생산량이 최대 6%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제 주요 매체도 이번 사안의 파장에 주목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인도네시아 그라스버그 광산 사고 및 미이행 계약이 가격 급등을 촉진하고 있다”고 진단했고, 로이터(Reuters) 역시 “구리 가격이 1년 3개월여 만에 최고치”라고 분석했다.

 

현장 전문가들은 첨단산업의 핵심 소재인 구리의 공급 불안이 기술 산업 전반의 가격 인상과 성장성 등에까지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연쇄적인 광산 사고가 이어지면서 글로벌 공급망의 팬데믹 이후 취약성이 또다시 대두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향후 주요 광산의 정상화를 둘러싼 일정과 생산 복구 수준이 국제 구리 시장은 물론 첨단 산업 전반의 가격 변동성에 직접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세계적인 원자재 수급 불확실성이 당분간 심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오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구리#프리포트맥모란#코델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