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한관계, 제3자 압력 받아선 안돼”…다이빙 중국대사, 한중 협력 강조
중한관계를 둘러싼 외교적 셈법이 복잡해지는 상황에서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가 양국 협력의 중요성과 미국 등 제3자 압력에 흔들리지 않는 외교 방향을 강조하고 나섰다. 9월 26일 경주 코모도호텔에서 개최된 동서대학교 중국연구센터 10주년 기념 심포지엄 영상축사에서 다이빙 대사는 “중국 경제는 안정 속에서 성장하고 있고, 정책은 안정적이면서 예측 가능하다”고 밝혔다.
다이빙 대사는 이날 “초거대 시장과 완전한 산업망·공급망의 강점은 대체 불가능하며, 중한 간 호혜적 협력은 여전히 큰 잠재력이 있다”고 말했다. 이런 입장은 최근 미국의 대중국 견제 기조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이 구체화되는 가운데 한국에 중국과의 실질적 이익을 강조함으로써 관계 개선 필요성을 환기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다이빙 대사는 “중한 관계는 독립·자주적이며, 제3자를 겨냥하지 않고, 제3자의 제약을 받아서도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의 대중 및 대미 관계는 제로섬 관계가 돼서는 안된다”며 “두 관계를 병행해 발전시키는 것이 한국의 근본적인 이익에 가장 부합한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한국 정부가 한미동맹에 방점을 두면서 미국의 대중 압박에 협조하는 흐름을 견제하는 발언으로 보인다.
또한 다이빙 대사는 “중한 양국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적으로 통한다”며 “양국 국민의 왕래와 언론 등 각계에서 긍정적인 에너지를 확산시킨다면, 이해 증진과 간극 해소, 우의 증진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은 남북관계의 구조적 변수와 해법에 주목했다. 김 전 장관은 “남북관계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변수는 북한의 두 국가론과 국제적인 제재”라고 진단하며 “적대적 두 국가는 관계의 성격을 적대에서 협력으로 바꿔야 하지만,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남북관계의 기본 성격 설정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제재의 수준과 범위는 남북 관계의 공간을 제약한다”며 “제재 완화와 해제는 미국의 결정에 좌우되기 때문에, 남·북·미 삼각구도에서 남북관계보다 북미관계가 더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북핵 문제와 관련해 “현재는 북핵 협상의 내용보다 협상 거버넌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4자회담 또는 6자회담과 같은 다자 협상틀 복원으로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미중 전략경쟁과 한반도 문제를 분리해 장기적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중관계와 남북관계를 둘러싼 양국 및 국제정세의 복합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이날 참석자들은 협력과 대화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외교가 안팎에서는 한국 정부가 미중 사이 균형외교를 어떻게 조율할지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