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 브로커 인수로 기관 시장 공략”…리플, 디지털 자산 금융 플랫폼 전환 가속
현지시각 26일, 미국(USA) 기반 블록체인 기업 리플(Ripple)이 프라임 브로커리지 업체 히든로드(Hidden Road) 인수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리플이 기관 투자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기존 결제 사업 위주의 비즈니스 모델을 디지털 자산 금융 플랫폼으로 전환하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리플의 최고경영자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는 최근 공개된 ‘Crypto In A Minute’ 영상에서 “프라임 브로커가 전통 금융 인프라를 새롭게 바꿀 핵심”이라고 강조하며, 이 분야에서 리플의 전략적 행보를 설명했다. 프라임 브로커는 헤지펀드, 트레이딩 데스크, 마켓메이커 등 대형 기관이 다양한 자산을 효과적으로 거래·관리할 수 있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존에는 JP모건, 골드만삭스 등 글로벌 은행의 전유물이었으나, 최근에는 디지털 자산 기반의 전문 업체들이 속속 진입하고 있다.

이 같은 변화의 한복판에서 리플은 히든로드 인수를 통해 기관 투자자들이 암호화폐와 전통 자산을 한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 청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업계에 따르면 히든로드는 안정적인 자본력과 투명한 재무 구조로 신뢰를 구축했으며, 이에 갈링하우스는 “기관 투자가들이 히든로드 같은 플레이어 덕분에 더욱 안전하게 디지털 자산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양사의 결합으로 리플의 주력 암호화폐인 XRP의 활용 범위도 넓어질 전망이다. 히든로드 프라임 브로커리지 인프라에는 이미 XRP가 통합돼 있어, 기관의 자금 유입과 시장 유동성 확대가 기대된다. 갈링하우스는 “이제 전통 금융기관의 역할을 히든로드와 같은 전문 브로커들이 대체하고 있다”고 언급, 리플이 디파이(DeFi)와 전통 금융을 잇는 중추적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행보에 대해 글로벌 주요 매체 역시 주목했다. 외신 타임스 타블로이드(Times Tabloid)는 “리플의 프라임 브로커 인수는 디지털 자산과 전통 금융의 경계를 빠르게 허무는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기관 금융 참여자들의 XRP 활용이 본격화될 경우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판도가 바뀔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리플의 이번 인수가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촉진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디지털 자산과 전통 금융을 아우르는 프라임 브로커리지 플랫폼의 부상으로, 주요 기관 투자자의 시장 진입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리플의 행보가 디지털 자산 시장뿐 아니라 글로벌 기관 금융 질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국제사회가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디지털 금융 플랫폼을 둘러싼 글로벌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