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맞춤형 리포트 ‘펄스’ 도입”…오픈AI, AI 개인화 서비스 확장 본격화 전망
현지시각 25일, 미국(USA) 친화 AI 스타트업 오픈AI(OpenAI)가 챗GPT(ChatGPT)에 탑재된 개인 맞춤형 리포트 기능 ‘펄스(Pulse)’ 출시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도입은 우선 월 200달러의 챗GPT 프로 구독자를 대상으로 시작되며, AI의 일상 지원 서비스가 일상으로 확산되는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챗GPT 펄스’는 사용자가 잠든 시간 동안 챗GPT가 개별 관심사를 분석해 매일 아침 5~10개의 요약 브리핑을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챗GPT 내에서 브리핑 카드를 확인하면서 사용자 맞춤 정보를 일과 시작 전 받아볼 수 있게 한다. 카드 형태 리포트에는 AI가 생성한 이미지와 요약문이 담긴다. 사용자는 브리핑 카드 선택 후 추가 질문이나 심층확인도 챗GPT 대화 창에서 즉시 진행할 수 있다.

이 기능의 강점은 개별 대화 내역과 관심 키워드를 AI가 반영한다는 점이다. AI는 사용자의 과거 대화 기록까지 학습해 더욱 정교한 맞춤 브리핑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에 관심이 있다는 내용이 누적돼 있으면, 펄스가 해외 일정이나 운동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포함하는 방식이다.
외부 애플리케이션 연동을 지원한다는 점도 특징이다. 오픈AI는 ‘챗GPT 커넥터(Connectors)’ 기능을 통해 구글 캘린더, 지메일 등 주요 일정·이메일 관리 앱과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고 밝혔다. 이를 활용하면 챗GPT가 밤사이 캘린더와 메일을 분석해 아침에 중요 메시지와 일일 어젠다를 요약해 녹여낸다.
이번 신기능 출시에 대해 피지 시모(Fiji Simo) 오픈AI 애플리케이션 최고경영자는 “챗GPT 펄스는 종전에는 한정된 계층만 누릴 수 있었던 일상 지원 서비스를 모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AI의 첫 단계”라며 AI 기반 일상관리의 대중화를 시사했다. 오픈AI는 추후 전체 챗GPT 사용자로의 지원 확대 방침도 밝혔다.
현지 외신들은 이번 기능이 “챗GPT의 정보 친화성과 생산성 향상 잠재력을 크게 끌어올릴 것”이라고 평가했다. 뉴욕타임스는 “AI의 일상화 흐름에 또 하나의 중대한 전환점”이라며, 앱 간 연동과 개별화가 결합된 서비스 혁신에 주목했다.
전문가들은 “사용자별 맞춤정보 서비스가 글로벌 AI 기업의 경쟁 구도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며, AI의 초개인화 서비스 확장이 전 분야로 파급될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번 오픈AI 발표가 실제 이용 패턴과 업무환경까지 어떤 변화를 이끌어내는지 관심을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