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 변이, 백신 접종에도 확산”…WHO 긴급대응 나선 이유
에볼라 바이러스가 다시 확산 조짐을 보이며 글로벌 보건 위기를 예고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아프리카 민주콩고에서 최근 신규 에볼라 환자 38명 중 31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했다. 신규 확진자의 치명률이 80% 가까이 치솟고, 900명 이상의 접촉자가 확인되면서 조기 대응과 확산 차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발병은 지난 5일 카사이주 불라페에서 첫 보고된 뒤 두 개 구역에서 네 개 구역으로 확산됐다. 업계는 “고위험 변이의 반복 출현이 글로벌 감염병 경보 체계와 백신 배포 전략의 분기점”이라는 데 주목하고 있다.
WHO와 아프리카 질병통제센터(Africa CDC)는 카사이주 내 원인 불명의 발열 환자 집단을 신속히 에볼라로 진단했다. 이번 발생 바이러스가 ‘자이르형’으로 확인되면서, 최대 치사율 90%에 이르는 위험성이 우려된다. 바이러스는 주로 과일박쥐, 유인원의 체액 또는 분비물과의 접촉을 거쳐 사람에게 전파된다. 전파 경로의 특성상 의료 인력 및 현지 주민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집단 감염이 빠르게 일어날 소지가 있다.

백신 접종 등 방역 조치도 속도를 내고 있다. WHO는 지난 21일부터 의료진, 접촉자 등 500명 이상에 긴급 백신 접종을 개시했으나, 열악한 인프라가 걸림돌로 작용 중이다. 셰일라 은사시르웨 WHO 아프리카 긴급대응 담당관은 “접근성 문제와 백신 저장 시설 부족으로, 불라페 등 일부 지역에선 소량씩 운송·접종하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특별히 냉장·냉동 체인을 유지해야 하는 백신의 특성상, 저개발 지역에선 신속한 대응의 한계가 반복된다는 평가다.
글로벌 감염병 대응 체계에서는 ‘변이 출현’과 ‘백신 접근성’이 중대 변수로 꼽힌다. 지난해에도 우간다·기니 등에서 독립 에볼라 발생 사례가 이어지면서, 미국·유럽 등 세계 각국은 원천 차단과 조기 진단에 투자하고 있다. WHO와 미국 CDC 등은 AI 기반 바이러스 진단, 접촉자 데이터 관리를 활용한 실시간 확산 예측 시스템을 보급 중이다. 하지만 해당 기술의 현장 적용에는 인프라, 인력, 법적 제약이 따라붙는다.
한편 현지에서는 백신 접종률 확대와 함께 이동 제한, 위생 교육, 환자 동선 모니터링 강화 등 다층적 대응이 병행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저개발 지역에선 감염병 신속 진단 기술, 백신 운송 네트워크,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가 성패를 좌우한다”며 감염병 대응 전략의 기술-제도 융합 필요성을 지적한다. 산업계는 이번 에볼라 확산세가 실제 시장 진입 단계의 백신, AI 진단 솔루션의 긴급 활용 시험대가 될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