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이공계 주거·연구비 전폭 지원”…서울시, 첨단인재 중심도시 도약 선언

신채원 기자
입력

서울시가 첨단산업 인재 중심 도시 도약을 공식화한다. 반도체, AI, 모빌리티 등 첨단 분야의 글로벌 경쟁이 본격화된 가운데, 서울시는 이공계 학생의 학비·연구비·주거비 부담을 대폭 줄이고,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위상을 끌어올릴 전방위 정책을 내놨다. 업계와 학계는 이번 발표가 “의대 쏠림 인력난 극복의 분기점이자, 미래 과학기술 경쟁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5일 고려대학교에서 열린 ‘이제는 이공계 전성시대 포럼’에서 이 같은 비전을 발표했다. 핵심은 ‘3NO 1YES’ 전략으로, 경제적 부담 없는 연구환경(3NO: 학비·연구비·주거비 부담 해소)과 과학기술인 자긍심 고취(1YES)다. 올해부터 박사 후 과정까지 확대되는 ‘이공계 미래동행 장학금’을 통해 석사 2,000만원, 박사 4,000만원, 박사 후 6,000만원까지 안정적으로 지원한다. 여기에 RISE 10(라이즈 텐) 챌린지를 도입해, 최대 10년간 연구비를 장기 지원하는 혁신적 시스템을 만들었다. 기존의 단기 성과 압박과 불안정한 자금 조달로 인한 연구 중단을 막겠다는 방침이다.

주거난 문제는 ‘이공계 인재 성장주택’ 신설로 대응한다. 서울시는 연구와 학업에 몰입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계 대학원생·연구자에게 합리적인 가격의 전용 주거 공간을 공급할 계획이다. 또한 ‘서울 과학인의 상’을 새로 제정해 우수 성과를 낸 과학기술인을 시상하고, 국제학술대회 진출, CES 등 글로벌 무대 지원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계 내부의 동기부여는 물론, 사회적 인식 개선과 고급 인재의 유출 방지 효과도 노린다.

 

특히 기존 의대 지원 집중 현상에 따른 이공계 인력 부족이 첨단산업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진다는 우려가 현실화되는 상황에서, 서울시의 전략 변화가 산업과 교육 현장에 미칠 파장이 크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주요 도시들은 이미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인재 확보에 국가 차원의 장기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미국, 싱가포르, 중국 등은 대학·기업·지자체 삼각 협력 모델을 가동 중이다.

 

제도 측면에서, 서울시는 장학 및 주거 지원 환경을 다른 메가시티 대비 우위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또 이번 포럼에서는 김영오 서울대 공대 학장이 글로벌 혁신 인재의 시대적 필요성을 강조하며, 대학과 지자체의 공동 정책이 필수임을 역설했다. 이후 토론에서는 이공계 학생 연구·창업·취업 현장의 한계와 실효적 지원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서울시는 향후 해당 의견을 실제 정책 설계와 집행 과정에 적극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산업계는 이번 지원정책이 과학기술 인재의 수도권 집중을 가속할지, 반도체와 AI 등 첨단 분야 인력난 완화에 실질적 효과를 낼지 주목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기술경쟁만큼, 연구·교육 생태계 혁신이 산업 성장의 핵심 변수로 부상했다”는 진단이 나온다.

신채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서울시#이공계#오세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