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종묘 차담회 논란 ‘정조준’”…특검, 궁능유적본부장 등 잇따라 조사

윤찬우 기자
입력

국가유산 사용 논란을 둘러싸고 김건희 여사와 대통령실, 그리고 특별검사팀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26일 서울 도심에서 진행된 참고인 조사와 잇따른 소환 일정으로, ‘종묘 차담회’ 의혹이 정치권의 갈등 요인으로 다시 떠오르고 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이날 오전, 지난해 9월 김건희 여사의 종묘 망묘루 차담회 의혹과 관련해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장 이모씨를 사무실로 불러 참고인 조사를 실시했다. 이날 이씨는 서울 KT광화문빌딩 웨스트의 특검 사무실에서 오전 9시 40분께부터 관련 질의에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차담회는 김 여사가 외부 인사들과 종묘를 사용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되며, 국가유산의 사적 사용 논란을 불러온 바 있다.

특히 궁능유적본부는 조선 궁궐과 종묘, 왕릉을 총괄 관리하는 기관으로, 종묘 사용 역시 본부장의 허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당시 궁능유적본부는 김 여사 방문 일정을 사전에 통보받고, 관람규정 제34조에 따라 ‘국가원수 방문 등 부대행사’로 해석해 사용을 허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이날 김 여사 측이나 대통령실과의 사전 소통 과정, 구체적인 내부 통보 경위 등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파악된다.

 

같은 날 특검팀은 통일교 한학자 총재에 대해서도 재차 소환장을 발부했으나, 한 총재는 건강 문제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한 총재는 지난 23일 구속된 이후 24일 한 차례 특검 조사를 받았다. 현재 그는 통일교 관리 자금을 동원해 2022년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에게 정치자금 1억원을 지원했다는 혐의, 그리고 같은 해 전성배씨(건진법사)를 통해 김 여사에게 고가의 목걸이와 샤넬백 등의 금품을 전달하며 교단 현안을 청탁했다는 의혹 등 정치자금법 및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 등을 받고 있다.

 

아울러 교단 자금으로 목걸이 등 고가품을 구매한 혐의(업무상 횡령), 2022년 자신의 원정 도박 의혹과 관련해 증거 인멸을 지시한 혐의(증거인멸교사) 등도 수사 대상에 올랐다. 한 총재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전 비서실장 정모씨 역시 같은 시각 특검팀 사무실에 출석해 조사를 받았다. 정씨는 통일교 내 최상위 조직인 천무원 부원장을 지낸 핵심 인물로, 한 총재의 주요 혐의에 공범으로 지목됐다.

 

특검팀은 한 총재와 정 전 실장 모두에 대해 지난 18일 구속영장을 청구했으나, 법원은 23일 새벽 한 총재에게만 영장을 발부했다. 정씨는 24일 이후 추가 조사를 받고 있다.

 

한편, ‘양평고속도로 노선변경’ 의혹과 관련해 특검팀은 이날 오전, 국토교통부 김모 서기관(구속)도 참고인으로 소환해 추가로 조사했다. 이번 특검 수사는 대통령실과 여권 인사, 그리고 통일교 핵심 관계자에까지 수사 범위가 확장되는 양상이다.

 

정치권은 김건희 여사 종묘 차담회부터 통일교 비리 전반을 아우르는 특검 수사 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여야 모두 특검 수사 결과가 내년 총선을 앞둔 민심의 변곡점이 될지 주시하고 있다.

 

이날 국회는 김 여사와 대통령실, 그리고 종교계까지 휘말린 수사 전선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특검팀은 향후 관계자 추가 조사와 증거 확보에 힘을 쏟을 방침이다.

윤찬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특검#김건희#통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