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셔틀외교 조기 복원”…위성락, 한미일 협력 강화 의지 강조
양국 외교 셔틀이 조기 재개되며 정치적 파장과 기대가 교차했다. 한일정상회담과 한미일 협력 구도가 맞물리면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내놓은 메시지에 정치권과 외교 관가의 이목이 집중됐다. 누적된 과거사 문제와 미래지향적 협력 과제가 한반도 외교의 고착 구조 속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일본 도쿄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4일 브리핑에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전날 성사된 한일정상회담의 의미를 강조했다.
위성락 실장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한일 셔틀외교를 조기에 복원했다”며 “우리가 일본과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에 대해 미국도 긍정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미일 협력은 미국도 중시하는 과제”라며 “이전엔 한일 관계가 좋지 않을 때 미국이 3국 협력을 주도해야 했지만, 이번엔 우리가 일본에 이어 미국을 방문하며 주도적 모습을 보였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소인수회담의 상당 시간을 한미관계와 관세 협상 등 미국 관련 논의에 할애했다”며 “이시바 총리가 미일정상회담의 경험을 ‘도움말’ 형태로 전달했다”고 소개했다. 위 실장은 “마침 한국이 미국으로 출국하는 만큼 많은 참고가 됐다”며 일본 측에 감사를 표했다.
과거사와 수산물 수입 등 한일 간 민감한 현안에 대한 논의 수준도 언급됐다. 위 실장은 “구체적인 이슈보다는 ‘어떻게 다루면 좋은가’와 같은 철학적 인식에 기반해 논의가 이뤄졌다”며, “현안에 대해 일본이 곧바로 전향적 입장을 보이긴 쉽지 않다. 각국 정치 지형과 여러 여건을 감안해 선순환적 성과가 나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일본산 수산물 관련 현안 역시 “포괄적 논의는 있었지만, 회담 자리에서 구체적 협의는 다뤄지지 않았다”고 답했다.
정치권에선 이번 한일 셔틀외교 복원이 한미정상회담 및 한미일 삼각 공조의 구심력을 끌어올릴 거란 기대와 신중론이 교차한다. 현지 일본 언론은 이재명 대통령의 방일에 대해 ‘서프라이즈’라는 평가를 전했다는 점도 눈길을 끌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한미정상회담 주요 의제로 경제통상 안정화, 동맹 현대화, 협력 영역 확대를 제시했다. 정치권과 외교가는 한일정상회담의 결과가 향후 미국 방문 및 3국 외교 지형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