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은 인도 인재를 원한다”…미국 H-1B 비자 급등에 독일, 인도 전문직 유치전 가속
현지 시각 25일, 인도에서 독일 정부와 대사관이 인도 전문직 인력을 대상으로 공식적인 영입 메시지를 내놓았다. 이는 미국(USA) 정부가 H-1B 취업비자 수수료를 대폭 인상하면서 인도발 글로벌 인재의 진로에 큰 변동성이 생긴 가운데 나온 조치다. 새로운 인재 유치 경쟁이 미국, 독일(Germany), 영국(UK)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9일, 외국 전문직 취업비자 H-1B의 신청 수수료를 기존 1천달러에서 10만달러로 100배 올렸다. H-1B 비자는 그간 인도인 고급 인력의 미국 진출 주 통로였으나, 이번 인상 조치로 인해 미국으로 향하던 인도 인력의 발길이 위축될 전망이다. 실제로 H-1B 승인자의 약 3분의 2가 인도 국적자였다.

독일의 인재 영입 행보도 가속화되고 있다. 필립 아커만 인도 주재 독일 대사는 최근 동영상을 통해 "독일의 이민정책은 신뢰할 수 있고 현대적이며 예측가능하다. 우리는 규정을 급변시키지 않으며, 인구 고령화로 매년 많은 신규 이민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독일에서 일하는 인도 출신들은 평균적으로 현지 독일인보다 소득이 높아 사회 복지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영국 역시 미국식 취업비자 수수료 폐지를 검토하며 인재 쟁탈전에 뛰어든 것으로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했다. 이는 글로벌 숙련인력 이동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경제와 기술 패권 확보의 열쇠가 인재 확보로 모아지고 있음을 방증한다.
이번 H-1B 비자 수수료 급등은 인도 내에서도 강한 반향을 불러왔다. 인도 기술 서비스 산업은 연 2,800억달러에 달하며, 서비스 수출의 절반이 인적자원 이동에 기반해왔다. 비자 장벽의 급격한 변화로 수천여 개 인도 IT 일자리가 위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인도 정부는 유럽연합(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서 전문직 이동의 원활한 보장을 주요 의제로 추진하고 있다.
독일은 이미 유학과 이민 시장에서 인도인 선호도가 크게 높아진 상태다. 독일고등교육진흥원(DAAD)에 따르면 2023~24년 기준 독일 외국인 유학생의 13%가 인도 출신이고, 올해 초 기준 약 28만명의 인도인이 독일에 영구 거주 중이다.
뉴욕타임스(NYT), 파이낸셜타임스 등 주요 외신은 "미국의 비자정책 변화가 새로운 글로벌 인재 흐름을 가져오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정책 변화가 미국 중심의 글로벌 IT 인재 이동에 구조적 전환을 몰고 올 수 있다고 지적한다. 향후 유럽, 특히 독일과 영국이 인도 전문직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유치하느냐가 인재 시장의 갈림길이 될 전망이다. 국제사회는 인재 영입을 둘러싼 각국의 추가 정책 변화를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