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무인기 작전, 6월부터 합참 보고됐다”…특검, 김명수 의장 ‘패싱’ 의혹 정면 반박하는 진술 확보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평양 무인기 투입 작전’과 관련해 작년 6월부터 합동참모본부(합참)에 보고가 이뤄졌다는 핵심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명수 합참의장(해군 대장) 등이 작전 흐름에서 배제됐다는 의혹과 큰 이견을 보이는 증언이 공식 채택되면서, 군 지휘체계의 실제 운영과 보고 라인 은폐 논란의 진상 규명이 정국의 뇌관으로 떠올랐다.
특검팀은 23일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육군 소장)을 네 번째로 소환해 평양 무인기 작전의 합참 지시 여부 및 전체 보고 체계에 관해 면밀히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사령관 측은 “작년 6월부터 이미 합참에 작전 보고를 했다”고 주장했으며, 당시 드론사 다른 관계자들도 함께 해당 보고 자리에 동석했다고 특검에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은 이들의 진술을 추가로 확보하며, 합참이 지휘·감독 역할을 했다는 정황에 무게를 두고 있다.

김용대 사령관 측은 “합참의 지시 없이는 해당 평양 무인기 작전을 집행할 수 없었다”며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역시 지난해 9월 취임 이후에야 관련 내용을 전달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합참 보고 ‘패싱’ 의혹은 설득력이 떨어지는 정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치권과 군 일각에서는 이번 진술 확보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추진 명분을 뒷받침하기 위해 드론사가 무인기 작전 명령을 직접 받았다는 의혹과 연결된다고 보고 있다. 특검팀은 작년 5∼6월 평양 무인기 투입 계획 수립 단계에서 드론사가 합참을 건너뛰고, 당시 경호처장이던 김 전 장관과 직접 연락했는지 여부, 더 나아가 작전 이후 군의 조직적 은폐 시도까지 핵심 쟁점으로 규명 중이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 17일 이승오 합참 작전본부장(육군 중장)을 소환했고, 20일에는 김명수 합참의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를 이어갔다. 수사팀은 향후 군 최고 지휘부의 실질적 작전 지시·보고 라인, 그리고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직접 관여 여부에 대한 사실 관계 입증에 수사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정치권은 진술 확보와 관련해 진상 규명 요구와 함께 향후 군 조직 개편 및 지휘체계 재점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검팀은 추가 소환 조사와 관련자 진술을 토대로, 작전 지시 및 보고 과정의 실체적 진실에 다가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