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늬·방효린 강렬 서사 폭발”…애마, 극과 극 평가 속 호기심→진짜는 무엇일까
초여름 햇살처럼 선명한 이하늬와 방효린의 등장에 넷플릭스 신작 ‘애마’가 강렬한 시작을 알렸다. 1980년대 충무로라는 뜨거운 시대의 기류 속, ‘희란’과 ‘주애’ 두 여성 주인공이 서로를 밀어내고 또 껴안으며 불합리한 세계와 정면으로 맞닥뜨리는 과정은 보는 이의 마음에 뜨거운 떨림을 남겼다. 대담한 도전과 긴장으로 점철된 이들이 뿜어내는 서사는 곧 관객 각자의 인생 경험과 겹쳐지며 묵직한 질문을 던졌다.
‘애마’는 에로영화의 탄생 이면에 감춰진 권력 투쟁과 어두운 현실, 그리고 억압에 맞서려는 여성들의 저항을 새로운 시선으로 풀어냈다. 이하늬가 맡은 ‘희란’과 방효린이 연기한 ‘주애’는 각자 다른 상처와 야망을 지녔지만, 시대가 강요한 부조리와 폭력 앞에서 점차 진한 연대의 끈으로 이어진다. 진선규와 조현철, 우지현, 이주영, 김종수 등 개성 넘치는 출연진이 불꽃 튀는 열연을 펼쳐 극의 몰입도를 높였다.

화려한 외양 이면, 치열한 인간 군상의 욕망과 갈등을 그린 이해영 감독의 연출도 주목받았다. 무엇보다 일부 시청자들은 “노출 기대조차 조롱하는 완성”, “이하늬의 존재감 덕분에 드라마의 색깔이 완성됐다”, “진선규와의 티키타카가 웃음을 유발했다”는 등의 긍정적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반면, “산행이나 캐릭터 설정이 설득력 없다”, “연출력의 아쉬움”, “재미와 메시지 사이 균형 부족” 등의 신랄한 의견도 존재했다. 작품이 던진 질문만큼이나, 완급과 파격을 두고 엇갈리는 시선과 감상은 새로운 논쟁의 장을 만들고 있다.
넷플릭스에서 총 6부작으로 선보인 ‘애마’가 과연 깊고 묵직한 메시지와 아슬한 긴장감으로 긴 여운을 남길지, 그 해답은 시청자 나름의 해석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