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먼저 대사·특사 제안”…이종섭 진술에 대통령실 향한 특검 수사 속도
호주 대사 임명 배경에 윤석열 전 대통령의 개입 의혹이 불거지며 정치권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도피성 해외 발령을 둘러싸고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대통령실과 외교·법무부 수뇌부를 잇따라 소환하며 수사를 확대 중이다. 여권 핵심의 사전 개입 정황이 드러나며 정국은 다시 격랑에 휩싸이는 양상이다.
22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별검사팀은 이 전 장관이 “2023년 9월 중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먼저 대사나 특사로 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이 발언은 대통령 관저에서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7일 이종섭 전 장관이 참고인 자격으로 출석해 밝힌 내용이다. 당시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 의혹이 확산되면서, 여권 핵심 고위직들을 중심으로 이 전 장관의 해외 발령이 기획된 정황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특별검사팀은 23일 박진 전 외교부 장관과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 등 주요 인사를 연이어 소환할 예정이다. 이들은 범인도피 및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된 상태다. 박진 전 장관의 경우 이종섭 전 장관의 호주 대사 임명 및 인사 검증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가 쟁점이다. 인사 검증은 2023년 12월께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도 22일 오후 피의자 신분으로 특별검사팀 조사를 받았다. 이 전 비서관은 이 전 장관의 임명·사임 시기에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을 지냈으며, 앞서 채상병 수사외압 의혹 관련해 세 차례 조사받은 바 있다. 이에 따라 당시 대통령실의 내부 지시 및 검증 절차, 외교·법무부와의 협력 경로 등도 주요 수사 대상에 오르고 있다.
정치권은 이번 수사를 둘러싸고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야권은 “대통령실이 수사외압을 조직적으로 덮으려 한 정황이 드러났다”고 주장하는 반면, 여권은 “정치적 음해에 불과하다”며 맞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실제 대통령실 기획 여부가 규명될 경우 정국 재편이 불가피하다”는 평가와 함께, 내년 총선 정국에도 상당한 파장이 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별검사팀은 이종섭 전 장관뿐만 아니라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 등 핵심 인물을 잇달아 조사하며, 8월 압수수색 대상으로 지목된 장호진 전 국가안보실장,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심우정 전 검찰총장 등도 조만간 소환할 가능성이 높다. 또, 국가인권위원회 김용원 상임위원의 PC 하드디스크도 추가 확보해 관련 자료를 분석 중이다.
이번 특검 수사는 윤석열 정권 핵심부의 ‘도피 기획’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지에 정치권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추가 소환과 자료 분석 등을 거치며 수사 범위가 한층 넓어질 전망이다.
정치권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연루 가능성을 두고 장외 공방을 이어가고 있으며, 특검은 향후 고위직 추가 소환을 예고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