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 부동산 보유 3분의 1”…이재명 정부 대통령실 참모진, 평균 재산 22억 원
대통령실 참모진의 재산 현황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올해 임명된 이재명 정부 대통령실 참모 31명이 평균 22억2천848만 원의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3명 중 1명꼴로 강남3구 내 부동산을 소유한 사실이 확인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발표한 고위공직자 재산등록 내역은 집값 고공행진, 자산 양극화 논쟁 등 민감한 현안과 맞물려 정치적 파장이 커지는 모습이다.
이번 재산 등록은 6월 2일부터 7월 1일 사이 임명된 비서관급 이상 대통령실 고위공직자 31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전체 참모진 55명 중 56%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본인 또는 배우자가 서울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 3구 내 아파트 또는 주택을 보유한 참모는 11명(35.5%)에 달했다.

재산 규모별로는 김상호 보도지원비서관이 60억7천800만 원으로 참모진 중 1위이자, 공개 대상 전체 고위공직자 중에서도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김 비서관은 강남구 대치동 다세대주택 6채(총 40억 원 상당)와 35억 원대 광진구 구의동 아파트를 배우자와 공동 소유하고 있다. 현금 5천200만 원과 가족 명의로 1억6천300만 원의 가상자산도 신고했다. 다만 대치동 주택과 관련된 임대채무 등 채무액도 22억9천600만 원에 이르렀다.
뒤이어 고액 자산가로는 문진영 사회수석(55억3천100만 원), 이태형 민정비서관(55억3천만 원), 최성아 해외언론비서관(47억7천800만 원), 봉욱 민정수석(43억6천200만 원), 김용범 정책실장(42억2천400만 원) 등이 꼽혔다. 문진영 수석은 강남구 역삼동 주상복합건물과 용산구 이촌동 아파트 등 48억 원 상당의 건물 재산을 중심으로, 현금과 증권, 예금 등 다양한 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태형 민정비서관은 송파구 잠실동 우성아파트와 장·차남 공동명의의 가락동 헬리오시티 아파트를 신고했다. 봉욱 민정수석도 서초구 반포동 다세대주택, 성동구 옥수하이츠 아파트 등 주거용 부동산과 가족 명의 주식 다수를 보유했다. 김용범 정책실장은 4년 만에 재산이 두 배로 늘었고, 배우자와 공동 소유한 서초구 아파트와 10억 원대 예금 등으로 총액이 집계됐다.
강남권 부동산 외에도 대통령실 참모진의 재산 상태와 변동도 눈에 띈다. 권혁기 의전비서관은 부부 공동명의로 서초동 아파트를 새롭게 매입했고, 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이정도 관리비서관 등도 자치구별 다수 부동산과 예금, 증권 등 재산 내역을 상세히 신고했다.
특히 김현지 총무비서관의 경우, 대장동 더샵 판교포레스트 아파트(7억5천만 원 상당)를 배우자와 공동 보유한 사실이 이번에 공개돼 시선이 쏠렸다. 김 비서관은 해당 아파트를 청약 당첨으로 매입했다고 밝혔다. 부부 공동명의 아파트와 별도 사무실, 어머니 실거주 아파트 등도 함께 신고했다.
반면, 참모진 중 재산이 가장 적은 전성환 경청통합수석은 총 2억9천200만 원을 신고했다. 김남준 부속실장, 김용채 인사비서관, 전치영 공직기강비서관, 김현종 국가안보실 1차장 등도 하위권을 기록했다.
정치권에서는 참모진의 재산 현황을 계기로 정부 고위공직자의 부동산 보유, 자산 형성 방식 등 투명성과 공정성 논란이 재점화되는 양상이다. 다만 이번 공개 대상에는 이재명 대통령, 강훈식 비서실장 등 국회의원 출신 주요 측근은 포함되지 않았다.
각종 공직자 재산공개는 여야 간 부동산 정책, 고위직 자산형성 논쟁과 맞물려 총선을 앞둔 정치 지형 변화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권은 추가 재산 검증과 제도 개선을 놓고 치열한 논쟁을 예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