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상병 사건 기록 이첩에 尹 격노”…이종섭, 대통령실에 즉각 보고 요청
채상병 사건을 둘러싼 정치적 충돌이 다시 뜨거워지고 있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8월 채상병 사건 기록의 경찰 이첩 사실을 전달받은 직후, 대통령실에 즉각 보고해달라고 요청한 사실이 특검 조사에서 드러났다. 윤석열 당시 대통령은 사건 이첩 사실에 크게 격노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건의 본질과 여권의 대응이 정국을 뒤흔들고 있다.
5일 법조계에 따르면, 순직해병특별검사팀은 최근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과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 등 관련 인물 조사를 통해 이 같은 정황을 확인했다. 특히 조태용 전 실장은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기록이 경찰에 이첩됐다”고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보고했고, 윤 전 대통령이 이 소식에 매우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는 진술이 확보됐다.

이미 지난해 7월 31일 임기훈 전 비서관으로부터 수사단 보고를 받은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런 식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냐”며 불만을 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이종섭 전 장관에게 “이렇게 다 처벌하는 게 말이 되냐”는 취지로 직접 전화했으며, 이후 이종섭 전 장관은 해병대 측에 사건 이첩 보류 및 언론·국회 브리핑 취소를 지시했다. 해병대 수사단은 이러한 지시가 외압이라고 판단, 8월 2일 경북경찰청에 예정대로 사건을 이첩했다.
당시 우즈베키스탄 출장 중이던 이종섭 전 장관은 같은 날 오전 해병대 수사단이 기록 이첩을 강행했다는 사실을 보고받았다. 직후 “있어서는 안 될 일이 생겼다. 대통령실에도 이 사실을 보고해달라”며 조태용 당시 국가안보실장에게 요청했다는 진술도 새롭게 알려졌다.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3년 8월 2일 채상병 사건 기록 이첩이 이뤄진 당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 등과 긴밀하게 통화한 사실을 파악했다. 특검은 이같은 정황을 종합해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직접 사건 기록 회수나 박정훈 수사단장에 대한 표적 수사를 지시했는지 여부를 집중 조사 중이다.
여야는 이번 특검 움직임과 윤 전 대통령 관련 진상 규명에 대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권력 차원의 외압을 규명해야 한다”며 공세를 강화하고 있고, 국민의힘은 “정치적 의도가 다분한 수사”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 사안이 내년 총선까지 여로에서 주요 쟁점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특검팀은 8일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을 다시 불러 윤 전 대통령의 반응과 구체 지시 여부를 추가 조사할 계획이다. 정치권은 이번 특검 조사와 관련 인물들의 추가 진술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