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반도체 위치 추적 강화 검토”…미국, 대중국 수출 관리에 긴장 고조
국제

“AI 반도체 위치 추적 강화 검토”…미국, 대중국 수출 관리에 긴장 고조

김소연 기자
입력

현지시각 5일, 미국(USA) 백악관은 엔비디아(NVIDIA) 등 첨단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중국(China) 유출을 막기 위한 위치 추적 기능 강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같은 움직임은 미중 간 첨단 기술 수출 통제를 둘러싼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글로벌 반도체 업계와 투자자들 사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게 하고 있다.

 

마이클 크라치오스 미국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은 이날 “위치 추적 기능을 높이기 위한 칩 내 소프트웨어 또는 물리적 변화가 가능한지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 AI 액션 플랜’에도 반도체 위치 추적 강화 방안이 포함됐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 방안은 AI 칩이 중국에 유입될 경우 국가안보상 우려가 커질 수 있다는 인식 하에 제안됐다.

미국, AI 반도체 중국 유출 차단 위해 위치 추적 기능 강화 모색
미국, AI 반도체 중국 유출 차단 위해 위치 추적 기능 강화 모색

이런 논의의 배경에는 미중 간 첨단 기술 주도권 다툼이 자리잡고 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중국 정부의 희토류 수출 통제 해제를 조건으로 엔비디아 ‘H2O’ 칩 등 첨단 반도체의 대중국 수출을 부분 재허용한 바 있다. 한편, 중국 당국은 최근 엔비디아 관계자를 소환해 ‘H20’ AI 칩의 보안성과 위치 추적 관련 해명을 요구하는 등 신경전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조치에 대해 엔비디아는 “자사 AI칩에는 외부에서 원격으로 접근·제어할 수 있는 ‘백도어’가 없다”고 강조했다. 크라치오스 실장 역시 “엔비디아, AMD 등과 위치 추적 기술 개발 관련 사적인 논의는 없었다”며, “각국의 AI 규제는 자율적이어야 하지만 미국형 혁신 모델이 가장 매력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과 중국 모두 기술 주권 및 보안 강화를 내세워 한치 양보 없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미국의 움직임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과 투자 환경에 직결된 사안으로, 국제 주요 매체들도 이번 조치에 주목하고 있다. CNN은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전쟁이 새로운 단계에 진입했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는 “규제 수위에 따라 AI칩 시장의 큰 변동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업계 안팎에서는 향후 미국 정부의 후속 규제 발표와 미중 추가 협상 여부가 엔비디아 등 주요 기업 주가 및 증시 변동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AI 등 차세대 반도체를 둘러싼 기술 패권 경쟁이 한동안 계속되면서, 국제 긴장이 더욱 고조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국제사회는 이번 발표의 실질적 이행 여부와 파급 효과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김소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엔비디아#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