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주식 차명거래 특검 추진”…주진우, 이춘석 경찰 고발 파장 확산
주식 차명 거래 의혹을 둘러싼 정치권 공방이 정점에 달했다.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이춘석 의원을 경찰에 고발하면서, 여야 갈등이 다시금 격화되고 있다. 주진우 의원은 6일 서울경찰청에서 이춘석 의원을 자본시장법과 금융실명법, 공직자윤리법 위반 혐의로 공식 고발했다.
주진우 의원은 "이춘석 의원이 인공지능과 산업통상 정책을 총괄하는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 위원장임에도 AI 관련 주식을 차명 거래한 것은 미공개 정책정보 이용에 의한 중대한 자본시장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차명으로 개설된 증권 계좌를 통한 실시간 거래 장면이 언론사 카메라에 포착됐고, 지난해 재산공개 당시 주식 내역도 누락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진우 의원은 "과거에도 반복적으로 보좌관 계좌를 활용한 정황이 있으며, '보좌관 주식을 구경만 했다'는 이춘석 의원의 해명은 국민의 분노만 가중시킬 뿐"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한걸음 더 나아가 "국정기획위원 전원과 국회의원 차명 재산에 대해 전수 조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특히 주진우 의원은 "유사 범죄가 없는지 특검이 권력 눈치를 보지 말고 철저히 수사할 필요가 있다"며, "특검 법안을 곧 제출하겠다. 국민 회초리를 받지 않으려면 국회가 이를 수용해야 한다"고 강한 입장을 내놨다.
이춘석 의원의 의혹은 지난 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휴대전화를 이용해 타인 명의의 계좌로 주식 주문을 넣는 모습이 언론에 포착되면서 급속히 확산됐다. 이춘석 의원은 이후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했고,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사임서를 제출했다.
정치권에서는 여야를 막론하고 특검 도입과 국회의원 재산 검증 요구가 번지고 있다. 한편 민주당 내부에서는 신속한 진상 규명으로 역풍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앞으로 여야 대치 국면이 특검 도입 논쟁으로 비화할지 주목된다. 국회는 특검 법안 제출 이후 치열한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