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수입 사상 최대치 돌파”…미국, 무역정책 강화에 글로벌 파장
현지시각 7월, 미국(USA) 재무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7월 관세 수입이 290억 달러(약 40조1천600억 원)를 기록해 월간 기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트럼프 관세’ 정책이 지속되고 주요 교역국과의 무역 합의에도 불구하고 추가 관세 부과 일정이 확정되면서, 미국의 무역 정책이 글로벌 교역 질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번 7월 관세 수입은 전월 대비 크게 증가해, 올해 들어 3개월 연속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4월 174억 달러에서 5월 239억 달러, 6월 280억 달러로 급증했으며, 1∼7월 누적 관세 수입은 전년 동기의 두 배 수준인 1,520억 달러(약 210조5천억 원)에 달했다. 특히 미국 정부는 8월 1일부터 새로운 관세율을 적용하려다 세관의 준비를 고려해 7일부터로 일정을 미뤘으며, 이로 인해 향후 무역 환경의 변동성이 더욱 커졌다.

관세 수입 급증은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이 핵심 동인이다. 미국은 일본(Japan), 유럽연합(EU), 한국 등 주요 국가와 최근 연이어 무역 합의를 이끌어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무역 중심의 관세 정책은 지속되고 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등 미국 행정부는 이러한 기조가 유지될 경우 10년간 누적 관세 수입이 2조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같은 조치는 주변국에도 파장을 미치고 있다. 미국 내 기업들은 관세를 납부하고, 제품 가격 인상을 통해 부담을 소비자에 전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폭스비즈니스는 "관세 인상은 소비자 물가에 추가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미국 소비자들의 체감 경기 악화가 불가피하며, 세계 공급망에도 부담이 전가될 전망이다.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 강화가 글로벌 무역 시스템의 변곡점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CNN 역시 "관세 부과 강행이 기업 경쟁력에 역풍을 낳을 수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관세 수입 증가는 단기적으로 연방정부 재정엔 긍정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기업 및 소비자 경쟁력 저하와 동맹국과의 신뢰 위축, 세계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한다. 주요 교역국의 향후 대응과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일정, 지속적 무역 정책 변화가 글로벌 시장과 환율, 증시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사회는 미국발 관세 정책의 실질적 이행과 대외 합의의 향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